여성 항일투쟁가 박차정

<사진설명> 박차정-김원봉 결혼기념사진 독립기념관(관장 김삼웅)은 국가보훈처와 공동으로 1920년대 후반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중앙상무위원으로 활동하며 여성운동과 민족운동을 주도하고 1930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 활동, 민족혁명당 부녀부주임,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 등을 역임하며 평생을 항일독립운동과 여성해방운동을 위해 헌신하신 여성독립운동가 박차정(朴次貞) 선생을 2006년도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그 공적을 기리는 전시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한다. ○ 기간: 2006년 5월 1일∼5월 31일 ○ 장소: 근대민족운동관 내 ○ 내용: 박차정 선생이 지도한 "조선의용대부녀복무단원" 등 다수의 공적사진 1910년 5월 7일 경남 동래에서 태어난 박차정 선생은 동래 일신여학교에 입학하여 동맹휴학을 주도하고,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중앙상무위원으로 활동하며 전국적인 차원에서 여성운동과 민족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30년 근우회사건을 배후에서 지도하다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930년에 중국으로 망명한 후 의열단으로 활동하다 의열단 의백 김원봉 선생과 결혼하였으며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여자교관, 민족혁명당 부녀부주임,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 등으로 활동하다 1939년 2월 장시성 쿤륜산 전투 중에 부상을 입고 그 후유증으로 1944년 5월 27일 충칭에서 순국하였다. 정부는 선생의 공로를 기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박차정선생 공적 박차정 선생은 1910년 5월 7일 경남 동래에서 아버지 박용한(朴容翰) 선생과 어머니 김맹련(金孟蓮) 여사의 3남 2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일제의 침탈에 항거하여 자결·순국한 아버지와 독립운동가 김두전(金枓全), 김두봉(金枓鳳)과 친척인 어머니,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숙부 박일형(朴日馨) 등의 영향으로 항일의 분위기가 강한 가정환경 속에서 선생은 자연스럽게 항일민족의식을 키워나갔다. 이에 신간회, 의열단 등에서 활동한 큰오빠 박문희, 둘째오빠 박문호 등과 함께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 것이다. 선생은 1925년 부산지방 여성교육의 산실이자 당시 항일여성운동을 선도하던 동래 일신여학교에 입학하였다. 이곳에서 항일민족의식과 남녀평등사상을 더욱 고취시키며 일신여학교 동맹휴학을 주도하였다. 또한 뛰어난 문학적 기질을 바탕으로 교지 '일신'에 선생의 항일의식과 시대인식을 표출하는 문학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다. 1927년 민족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여성운동의 전국적인 통일기관인 근우회(槿友會)가 결성되었다. 이에 선생은 근우회 동래지회 활동을 주도하고 근우회 중앙집행위원과 중앙상무위원으로 선임되어 선전과 출판부문에서 활동하는 등 전국적인 차원에서 여성운동과 민족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연장으로 1930년 1월 서울지역 11개 여학교의 시위투쟁인 이른바 '근우회사건'을 배후에서 지도하다 일경에 피체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930년 봄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는 둘째오빠 박문호의 연락을 받고 중국으로 망명한 선생은 국내에서 항일투쟁공로를 인정받아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 중앙위원 등 의열단의 중책을 맡아 활동하였다. 그리고 1931년 의열단 의백 김원봉(金元鳳)과 결혼하면서 본격적으로 의열단의 핵심멤버로 활약하였다. 선생은 난징(南京)으로 거주지를 옮겨 청년투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임철애, 임철산' 등 가명을 사용하며 여자교관으로 활동하였다. 김원봉은 1935년 난징에서 좌우 독립운동단체 9개를 통합하여 '조선민족혁명당'을 창당하였다. 이에 선생은 부녀부주임으로 활동하는 한편, 1936년 지청천 장군의 부인 이성실과 함께 '민혁당남경조선부녀회'를 결성하고 모든 조선의 여성들이 총단결하여 민족독립운동과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조선민족전선연맹'이 창립되자 선전·홍보분야를 맡아 활동하였으며 산하 군사조직인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으로 활동하며 의용대원의 사기진작과 선전활동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선생은 1939년 2월 장시성(江西省) 쿤륜산(昆崙山) 전투 중에 큰 부상을 입고 후유증으로 1944년 5월 27일 충칭(重慶)에서 34세를 일기로 순국하였다. 이에 정부는 선생의 공로를 기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청주 류병두 기자 (백범 김구선생 시해진상규명위원회.백범문화 재단 사무총장)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