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월드컵 개최 카타르 인구당 노예비율 4위

▲ 호주 인권단체 워크프리는 전세계 노예생활자가 3천6백만여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세계 인구의 0.5%에 해당한다. 출처=2014 세계노예지표 보고서 표지

전세계 나라에서 대략 3,600만명이 노예 생활을 하고 있지만 이들을 구해내기 위한 각국 나라 정부의 노력은 현저하게 부족하다고 한 인권단체가 17일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현대의 노예제가 만연된 나라들은 아프리카 북서부의 모리타니아, 우즈베키스탄, 하이티, 카타르와 인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호주에 근거지를 둔 인권단체 ‘워크프리재단’은 지난해 첫 노예 지표에서는 2천9백8십만명이 성노동, 부채 상환을 위한 노동 및 강제 노동에 사용되려고 노예처럼 매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조사 결과는 이보다 늘어 세계 70억 인구의 대략 0.5%가 노예 생활을 하고 있다.

인도 최대, 한국 인구의 4분의 1 가량이 노예 생활자

‘워크프리’의 올해 지표를 보면 3천5백8십만명이 노예처럼 생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단체는 지난해에 비해 노예생활자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자료 수집 방법이 더 정교해졌으며 전에 노예제를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나라의 실태가 드러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고 시드니모닝헤럴드가 18일 전했다.

‘워크프리’는 노예제를 이익이나 성을 착취하기 위해 폭력, 강압 또는 사기 등으로 사람들의 자유를 박탈해 지배하거나 소유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여기에는 또한 연기계약(年期契約) 노예, 강제 결혼과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아이들 납치도 포함된다.

이번의 167개국 조사에서 노예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였다. 인도는 12억5천만의 인구 중 1천4백3십만명이 매춘에서부터 빚을 갚기 위한 노동을 하는 노예생활자였다.

모리타리아 또한 인구에 비례해 노예가 가장 많았고, 2022년 월드컵을 개최하는 카타르도 4번째로 노예가 많은 나라를 차지했다. 카타르는 2022년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축구 경기장 등 거대건축물을 짓는 데 이주노동자에 의존하고 있다. 주로 아시아 출신인 이들 노동자들은 건축현장, 원유 사업이나 가사노동에 매여 노예처럼 부림을 당하고 있다.

보고서 “노예제는 현대 모든 나라에 존재한다”

이 보고서는 “강제노동과 조혼(早婚)으로 교육이 받지 못한 아이들로부터 직업소개소에 엄청난 빚이 있어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성인남자에서 무보수로 가사 일을 하는 여성 노동자들까지 현대의 노예제는 다양한 면모를 보인다”고 말했다.

세습노예는 모리타니아에 뿌리 깊이 박혀 있다. 인구 390만 인구의 4%가 노예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모리타니아 다음으로 노예제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많이 횡행했다. 이 나라에서 시민들은 해마다 정부가 책정한 목화 생산량을 달성하기 위해 강제로 목화 작업을 해야 했다. 하이티에서는 가난한 아이들이 부유한 지인이나 친지들에게 보내져 학대와 강제 노동을 하는 관행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다음으로 노예 비율이 높은 나라는 인도, 파키스탄, 콩고민주공화국, 수단, 시리아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이었다.

이 노예제 지표에 따르면 단 10개국의 노예가 전세계 노예의 71%를 차지하고 있었다.

노예 수를 보면 인도에 이어 중국 320만명, 파키스탄 210만명, 우즈베키스탄 120만명, 러시아 1백5만명, 나이제리아 834,200명, 콩고민주공화국 762,000명, 인도네시아 714,100명, 방글라데시 680,900명, 태국 475,300명이었다.

네덜란드, 노예 억제 정책 최강
북한, 노예 억제 정책 제일 최약

이번에는 노예제에 대한 각국 정부의 대응도 평가했다. 네덜란드, 스웨덴, 미국, 호주, 스위스, 아일랜드, 노르웨이, 영국, 조지아와 오스트리아 순으로 노예 수를 줄이기 위한 강력한 정책을 펼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반대로 노예제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는 나라들은 북한, 이란, 시리아, 에리트레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리비야, 적도기니, 우즈베키스탄, 콩고민주공화국과 이라크 순이었다.

북한을 제외한 모든 나라가 몇몇 형태의 노예 생활을 범죄로 규정하는 법령을 갖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부들은 노예 피해자들은 돕고 노예 공급망 조직을 뿌리 뽑을 수 있음에도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고 워크프리 재단이 지적했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났듯이 문서로는 많은 일이 진행되지만 반드시 그것이 어떤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이 단체의 관계자 피오나 데이비드가 톰슨 로이터스 재단에 말했다.

데이비드는 “대부분의 나라가 피해자를 돕는 제도의 힘은 50% 내지 그에 못 미치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더욱 놀라운 사실은 167개국 중 호주, 브라질, 미국 3개국만 노예 공급 과정에 관여하는 정책을 취해왔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분쟁이 노예생활자의 만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비드는 이슬람국가(IS)는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성인 여자들과 소녀들을 성노예로 쓰기 위해 납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통계는 (분쟁과 노예제 사이의) 상관관계가 뚜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국제사회는 위기 상황에 대한 인도주의적 대응의 일환으로 이런 종류의 문제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