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 3사 2분기 합산 영업익 1조원 넘어…2개 분기 연속
5G 가입자 확대로 통신 분야 매출 공고
비통신 분야도 수익 나고 있어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1조1000억원을 넘어섰다. 2분기 연속으로 1조원대를 기록한 것인데, 하반기에도 이 같은 실적이 유지될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 KT, 올해 상반기 매출 ‘역대 최대’
10일 이동통신업계에 다르면 KT는 올해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6조312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한 459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상반기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늘어난 12조5899억원, 영업이익은 1조858억원을 기록이다. 상반기 기준 연결 매출은 역대 최대 실적이다.
KT CFO 김영진 전무는 “올해 상반기에는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선도하고 운동장을 넓혀, 기존 사업 영역을 확장시켜 KT의 가치를 재평가 받겠다는 전략이 주효했다”며 “하반기에도 KT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성장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며 성과를 입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무선 사업(Telco B2C)은 5G 가입자가 증가세를 이어나가며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약 54%인 747만명을 기록했다. 홈 유선전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으나,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로 기가인터넷 판매 비중이 늘어나며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성장했다.
B2C 플랫폼 사업(DIGICO B2C)에서 IPTV 사업은 ‘보는 TV’에서 ‘즐기는 TV’로 서비스 커버리지를 넓히기 위해 고객의 니즈에 맞춰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초이스 요금제’로 개편했다. 고객의 다양한 콘텐츠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1% 성장했다.
B2B 플랫폼 사업(DIGICO B2B)에서 AICC 사업은 금융권을 중심으로 대형 구축사업을 수주하며 상반기 매출이 전년도 연간 매출을 초과했다. 이 밖에도 스마트 모빌리티 등 ABC(AI·BigData·Cloud) 기반 핵심 사업의 성장을 가속화해 새로운 시장을 확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B2B 고객 대상(Telco B2B)은 대형 CP사의 트래픽량 증가와 프리미엄 서비스 확대 등에 따라 기업 인터넷 사업 매출이 전년대비 5.9% 증가했다. 통화DX 서비스와 MVNO 시장 확대로 기업통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다.
B2B 사업의 수주액은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33% 성장했다. KT는 핵심 인프라와 차별적인 서비스를 바탕으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수요 확대에 발빠르게 대응해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KT그룹은 상반기 신설법인 ‘kt cloud’를 출범시키는 등 그룹사 포트폴리오 재편에 힘쓰고 있으며, 신한은행과 지분교환을 통한 파트너십 외에도 CJ ENM의 지분 투자 등 활발한 제휴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힘입어 상반기 그룹사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인 3524억원을 기록했다.
KT그룹의 KT스튜디오지니, 나스미디어 등 콘텐츠 자회사는 콘텐츠·광고·커머스 등 전 분야에 걸친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7% 매출 성장을 거뒀다. 올해 4월 설립된 KT클라우드는 공공 Cloud부문 1위 리더십을 굳건히 하며 두 자릿수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비씨카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3% 성장했다. 케이뱅크는 지난 분기에 이어 고객수와 수신, 여신 등 모든 영업 지표의 성장으로 5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KT에스테이트는 코로나 엔데믹 분위기 속에서 안다즈(신사), 소피텔(송파) 등 호텔 영업이 회복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46.3% 성장했다.
KT 관계자는 “기업공개(IPO)를 앞 둔 케이뱅크와 밀리의 서재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예정대로 일정을 진행하고 있다”며 “양 사 모두 각 산업 내에서 차별화된 플랫폼 경쟁력과 성장성을 입증하고 있어 향후 IPO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SK텔레콤, 신사업 성장세 지속하며 ‘선방’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2분기 매출 4조2899억원, 영업이익 4596억원, 순이익 258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16.1% 증가했고, 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등이 제외돼 67.6% 감소했다. SK브로드밴드는 전년 대비 3.6% 증가한 매출 1조33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1.8% 증가한 782억원이다.
SK텔레콤은 ‘SKT 2.0’ 시대를 맞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제시한 5대 사업군이 고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실질적 성과로 연결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유무선통신 사업은 MNO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분기 1000만명을 돌파한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등 대세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 맞춰 신규 요금제를 출시했다. 고객의 선택권을 강화해 서비스 경쟁력을 높였다. SK브로드밴드의 양적 성장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22.3% 성장한 매출 3821억원을 기록했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엔터프라이즈 사업 매출은 37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성장했다. 2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데이터센터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클라우드 사업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하는 등 급성장하고 있다.
구독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총 상품 판매액(GMV) 2600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T우주는 20~40대를 중심으로 이용자 120만명을 돌파하는 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출시 1년을 맞이한 ‘이프랜드’도 MAU(월간 실 사용자 수) 163만명, 누적 다운로드 870만회를 기록했다.
최근 SK텔레콤은 하나금융그룹과 4000억원대의 지분 교환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SK텔레콤은 이종 산업 간 초협력을 통해 혁신 창출에 앞장서 왔던 것처럼 ICT와 금융의 융합을 통해 미래 ICT 금융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 LG유플러스, 일회성 인건비 등으로 ‘주춤’
LG유플러스는 2분기 매출 3조3843억원, 영업이익 248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일회성 인건비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다.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2분기 마케팅 비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3% 줄어든 5649억원을 기록하며 안정화 기조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CAPEX는 5G 네트워크 투자 및 신사업 강화를 위한 투자로 6110억원을 집행했다.
올해 2분기 무선 사업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조 5410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무선 가입자 순증과 2개 분기 연속 역대 최저 해지율 달성 등 질적 성장이 주효했다. 접속수익을 제외한 무선서비스수익은 1조455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6%늘었다.
2분기 순증한 무선 가입자는 49만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9.0% 성장했다. 무선 가입자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3% 증가하면서 누적 가입자는 1896만8000명으로 늘어났다. 5G 가입자는 작년 2분기와 비교해 44.2% 증가한 537만3000명이다. 핸드셋 기준 전체 가입자 중 5G 고객 비중은 47.0%를 차지했다.
스마트홈 부문은 작년 2분기와 비교해 7.6% 늘어난 5796억원의 수익을 거두며 실적 상승에 힘을 보탰다. IPTV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7.8% 늘어난 3276억원이다. 사용자 환경(UI) 개선 및 ▲U+아이들나라 ▲U+홈트NOW ▲U+골프 등 자체 콘텐츠 경쟁력 강화로 IPTV 누적 가입자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 증가한 539만6000명을 기록했다. 초고속인터넷 수익은 25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늘었다. 누적 가입자는 486만2000명으로 같은 기간 4.8% 성장했다.
LG유플러스는 올 하반기 통신 사업 분야 질적 성장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비통신 신사업 역량 강화에 집중, 디지털 혁신 기업으로 도약에 박차를 가한다. 특히 통신 사업에서 입증한 고객 경험 혁신 기반의 질적 성장을 신사업 영역에서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B2B 신사업 영역에서는 선도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솔루션 발굴을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지속적으로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LG유플러스는 중소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스마트팩토리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스마트 스테이션 구축 사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2026년 도심 항공교통(UAM)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기관과 업무 협약을 맺으며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집중했다.
이와 함께 성장성이 높은 신규 사업을 가시화해 시장 요구에 부응한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출시한 선택 제한, 요금 부담, 해지 불편이 없는 구독 플랫폼 ‘유독’을 타사 가입자에게 개방해 고객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데이터 분야에서는 B2B 빅데이터 서비스 ‘데이터플러스’, 소상공인 특화 AI 콜봇 서비스 ‘AI 가게 매니저’ 등 플랫폼·데이터 사업을 본격화했다.
관련기사
- SK텔레콤, 5대 사업군 훨훨…2Q 영업익 전년比 16% ↑
- LG유플러스, 2분기 영업익 전년比 7.5% 줄어든 2484억원
- 이통 3사의 첫 합작법인은 ‘금융약자 돕는 신용평가사’
- 경쟁사 주가 주춤하는데 KT만 훨훨…이유는?
- 과기정통부, LG유플러스에 5G 주파수 추가 할당키로
- 韓 조선업, 7월 세계 1위 수주 실적 유지…LNG 운반선 싹쓸이
- 수소사회 로드맵 첫발…부·울·경 수소 장거리 버스 '시범운행'
- 고물가에 커피도 가성비 경향…메가커피‧빽다방 관심도 증가
- 케이뱅크, 전세대출 금리 전격 인하
- 신한銀, 중장년층 디지털 일자리 창출 앞장
- LG유플러스, 신규 서비스에 ‘고객 아이디어’ 반영
- ‘민영화 20주년’ KT “다음 20년 위해 글로벌 테크 컴퍼니 도약”
- SK텔레콤 ‘T우주’ 출시 1주년…성과 및 향후 계획은?
- 이통 3사, 추석 앞두고 협력사 납품 대금 조기지급
- KT, 美 데이터브릭스와 빅데이터·AI 비즈니스 협력
- ‘U+3.0 시대’ 선포한 LG유플러스…황현식 사장 “4대 플랫폼 중심 신사업 추진”
- 진화하는 스마트팩토리…LG유플러스, 화재감지 기술 더한다
- [동향] 엔데믹 여정에 패션‧유통, 가을 패션 제안 중
- 밀리의 서재, 증권신고서 제출…11월 코스닥 상장 계획
- 글로벌 무대 뛰어드는 SK텔레콤 ‘이프랜드’…49개국 동시 출시
- 하나금융 3사-SK ICT 3사, ‘데이터 결합’ 신사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