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등 동남아지역 바이러스와 98.9% 상동'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한 한우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 ⓒ뉴시스DB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한 한우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 ⓒ뉴시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국내 구제역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당국은 방역을 강화한다.

17일 농식품부는 지난 10일 충북 청주시 소재 한우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청주시와 증평군 소재 한우 농장 9호와 염소농장 1호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구제역 바이러스는 해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국내에서 사용 중인 구제역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구제역은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동남아지역 바이러스와 98.9%의 상동성을 보이는 사실을 당국은 확인했다.

무엇보다 구제역이 발생한 10개 농장 모두 첫 발생 신고 이전에 해외에서 유입된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됐고, 백신접종 미흡 등으로 인해 항체형성이 잘되지 않은 개체들 중심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구제역 백신 항체 양성률이 2022년 기준 소 축종의 경우 98.2%로 높게 유지되고 있어 전국 확산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나, 바이러스 잠복기(최대 2주), 추가 접종에 따른 항체형성 소요 기간(2주) 등을 고려할 때 산발적인 추가 발생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농식품부는 선제적이고 과감한 방역 조치를 통해 구제역 확산을 방지하고 조기 안정화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전국의 우제류 사육농장의 방역관리를 강화한다.

우선 우제류 가축의 충분한 항체형성을 위해 금주 중 20일까지 전국 우제류 농가에 구제역 긴급 백신접종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 발생 시군(충북 청주·증평)과 인근 7개 시군의 소 축종에 대해서는 위험지역의 긴급 백신접종 완료 및 항체형성 기간(2주)을 고려해 16일부터 5월 30일까지 2주간 이동을 제한하고 가축시장을 폐쇄한다.

아울러 해외로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악성 가축전염병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전국 공항•항만에서의 국경검역을 강화해 추진 중이며, 구제역 바이러스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해 국경검역을 더욱 강화키로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