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4대강 보 적극 활용토록 할 것"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문재인 정부 당시 보 해체와 상시 개방으로 가닥을 잡았던 4대강 보를 적극 활용해 가뭄 위기를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16일 환경부는 4대강 보 소재 및 인접 시군 주민 4000명과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4대강 보를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국민인식 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보 인근 주민(총 4000명)의 약 87%(3473명)가 가뭄 등 물 부족 위기에 보를 적극 활용하는데 찬성했으며, 이는 일반국민(총 1000명)의 찬성 비율인 약 77%(774명) 보다 높았다. 반면, 일반국민 중 보 활용에 반대하는 비율은 약 14%(136명)에 불과했다.
특히, 보 인근에서 농업·어업 등을 하는 주민(총 408명)의 경우 찬성 비율이 약 93%(378명)에 달했다. 한편, 보 활용에 찬성한 일반국민(총 774명)의 약 76%(588명)는 4대강 보를 '생·공·농업용수 공급 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정책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총 1000명)의 약 81%(814명)가 '찬성'했으며, 향후 하천시설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총 1000명)의 약 52%(521명)가 '수질·생태와 수량을 균형있게 중시하는 방향'을 선호했다.
또 이날 환경부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녹조 문제와 관련해 하천, 제방 등 공유부지에 쌓여 있는 퇴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퇴비를 강 인근 땅 위에 쌓아두고 있다가 비가 내리면서 질소와 인 등 영양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녹조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같은 날 환경부 한 관계자는 "댐-보-하굿둑 연계운영을 통해 4대강 보를 가뭄 등 물 위기 극복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국민들이 안정적으로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