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자율주행‧고정노선 물류로봇 2종, 현대차‧모비스 미국공장에 공급

현대위아가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상용화한다. ⓒ현대위아
현대위아가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상용화한다. ⓒ현대위아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현대위아가 물류로봇 상용화를 통해 로봇 사업을 본격화한다. 현대위아 물류로봇은 내년 현대차그룹과 현대모비스 미국공장에 공급된다.

25일 현대위아가 자율주행 물류로봇(AMR‧Autonomous Mobile Robot)과 고정노선 물류로봇(AGV‧Automated Guided Vehicle)의 상용화를 통해 로봇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 두 가지 로봇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물건을 운송한다.

현대위아는 내년부터 이 물류로봇을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와 현대모비스의 미국공장에 공급한다.

현대위아가 개발한 AMR은 최대 적재 하중이 각각 1000㎏과 300㎏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공장 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며 물건을 운송한다. 라이다 센서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공장 내 지도를 작성하고, 스스로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장애물을 만나면 스스로 회피하여 이동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현대위아는 라이다 센서와 3D 카메라를 추가해 물류로봇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해 통합 관제 시스템을 개발해 언제나 최적의 경로를 찾아 물건을 이송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공장 내 상황과 환경을 파악하고 스케줄링 작업을 통해 물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현대위아의 AGV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물건을 이송하는 로봇으로 차체 및 부품 등을 정해진 경로에 따라 정확하게 옮기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대위아는 AMR과 AGV를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Integrated Modular Architecture)’ 체계를 적용해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급성장하는 물류로봇 시장에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IMA는 최근 완성차 개발에 적용되고 있는 핵심 부품 표준화 및 모듈화 기술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빠르게 충족하는 최신 개발 방식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AMR이 생산에 필요한 물건을 완벽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스스로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췄다”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해 전기차 제조 물류의 혁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