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뉴빌리티-SK쉴더스, 공동 개발 및 사업화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SK텔레콤이 연내 ‘자율주행 AI순찰로봇’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SK텔레콤은 자사의 AI기술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배달로봇 선도업체인 뉴빌리티, 융합보안 서비스 전문회사인 SK쉴더스와 손잡고 ‘자율주행 AI순찰로봇’을 공동 개발하고 사업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자율주행 AI순찰로봇’ 서비스란 자율주행 로봇이 지정된 구역을 계속 움직이며 모니터링하고, 특이상황 감지시 관제센터에서 보안요원을 출동시키는 보안 및 경비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3사는 7일 SK쉴더스 삼성동 사옥에서 MOU를 체결했다. SK텔레콤의 AI 영상인식 및 전송기술을 뉴빌리티가 보유한 자율주행 로봇기술 및 원격관제 솔루션에 적용하고 SK쉴더스의 보안 솔루션 및 영업 인프라를 활용해 AI순찰로봇 서비스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상용 서비스를 앞당기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뉴빌리티는 CES 2023 혁신상을 수상한 실외 자율주행 배달로봇 ‘뉴비’로 주목받고 있다. ‘뉴비’는 GPS, 카메라 및 센서를 결합한 기술로 장애물을 인식하고 회피해 이동하는 자율주행 배달로봇으로, 고가의 라이다(LiDAR) 센서 대신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솔루션을 적용해 독보적인 가격 경쟁력이 강점이다.
3사는 24시간 모니터링 수요가 있고 CCTV 사각지대가 많은 학교, 공장,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순찰로봇 시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뉴비를 가성비 있는 순찰로봇으로 업그레이드해 조기 채택의 걸림돌인 가격 부담을 해소했다.
SK텔레콤은 ‘뉴비’에 자체 개발한 실시간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기술 및 비전AI 영상분석 기술이 탑재된 관제시스템을 적용하는 한편 야간 순찰용 저조도 360도 회전 카메라를 새롭게 장착했다.
AI순찰로봇은 설정된 공간을 자율적으로 주행하며 24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경고방송이 가능해 치안 강화 및 시설 관리 보조수단으로 보안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다.
■ 올해 2분기 내 3사 본계약 체결…연내 정식 서비스 계획
3사는 3월말까지 AI순찰로봇 서비스 상품화를 위해 필요한 스펙과 기능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후 공동 개발을 위한 각 사의 역할과 개발비용 분담 방안, 사업모델 등을 담은 본계약을 2분기 내에 체결하고 연내 상용화 서비스를 출시할 방침이다.
SK텔레콤과 뉴빌리티 양사는 지난해 6월 ‘SK텔레콤 오픈 2022’ 대회 기간동안 제주 핀크스GC에 자율주행로봇 ‘뉴비’를 배치해 갤러리와 선수들에 물과 음료를 제공하기도 했다.
최낙훈 SK텔레콤 Industrial AIX CO 담당은 “고객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로봇제조사가 직접대응하기 어려운 영역을 AI기술과 솔루션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SK텔레콤 로봇사업의 핵심”이라며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대학 캠퍼스를 넘어 아파트단지, 산업현장 등 다양한 일상 속 공간을 자율주행로봇으로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SK쉴더스, 뉴빌리티와 함께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텔레콤, ‘MWC2023’서 드러낸 야심…“AI 대전환 이끌 것”
- SK텔레콤, ‘AI로봇키트’ 출시…로봇에 부착해 ‘화재·가스 누출’ 감시
- [CES 2023] 개최 D-10…韓 기업 어떤 기술 뽐내나
- [현장] AI·데이터·클라우드·모빌리티…SK 그룹 기술 역량 결집된 ‘SK 테크 서밋’
- 넥센 그룹 CVC, 美 교통 관리 및 분석 스타트업 '오토모투스' 투자
- 정부, 우주산업 저변확대…5년간 500억 규모 '우주펀드' 조성
- SK텔레콤 “‘필카 감성’ 느끼고 싶다면 T팩토리로”
- [현장] 이재관 “완전 자율주행 시대 전 ‘안전‧보안‧표준‧법령’ 등 갖춰야”
- 작년 최대 실적 거둔 이통 3사, 올해는 연초부터 ‘흔들’
- SK텔레콤 이프랜드에 ‘미스터트롯2 김용필’ 전용 공간 등장
-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올해 AI 컴퍼니 도약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