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3일 2022 세포배양 국제심포지엄 개최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는 바이오 의약품과 백신 산업과 함께 배양육 등 미래식품산업을 경북 바이오산업의 한 축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배양육은 가축의 줄기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해 키워낸 식용 고기이다.
경북도는 12일부터 13일까지 양일간 의성군, 영남대학교 세포배양연구소와 공동으로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에서 한국·네덜란드·이스라엘·싱가포르 등 4개국 산학연 전문가 1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2 세포배양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배양육 생산기술과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식량위기와 탄소중립, 동물복지 이슈 등으로 미래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는 배양육 산업을 선도하고 국내외 산학연 기관과의 공동협력과 교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기조 강연자로 나선 아시아 태평양 배양육 협의체 프로그램 매니저 피터 유(Peter Yu)는 배양육 선도국의 정책과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발표하고 배양육과 세포배양 해산물 산업에 대한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세포배양 분야 석학들의 발표를 통해 배양육 과제의 미래 방향에 대한 식견과 통찰을 공유했다. 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의 기초과학・자연과학・3D 바이오 프린팅 등 각 분야별 주요 연구 성과, 산학협력 프로그램, 인력 양성 발굴 등 우수 사업을 소개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배양육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위한 교류에는 알레스 팜스, 네오 크레마, 제일제당, 다나 그린 등 국내외 배양육 개발 관련 기업들이 참여해 최신 기술을 소개했다.
종합토론에서는‘배양육 산업화의 장애물과 해결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방향성을 제시했다.
경북은 세포배양 핵심 기술력을 보유한 영남대를 비롯해 포스텍(3D 바이오프린팅),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영천센터 등 우수한 세포배양 기술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최신 기술 정책 교류와 산학연 네트워킹을 통해 산업화를 앞당기고 경북도의 정책의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