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 디지털이 융합된 경북형 메타버스 
공항(Airport) 결합한 ‘메타 포트’ 구축 등 

6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6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대구경북본부/김영삼 기자] 경북도는 메타버스 신산업 육성 종합대책인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을 6일 발표했다. 

이날 경북도가 발표한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의 3대 방향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돈 되는 메타버스 △새로운 관계를 창출하는 사람이 몰리는 메타버스 △새로운 영토를 창출하는 디지털로 통합하는 메타버스이다. 

경북도는 인문과 디지털이 융합된 경북형 메타버스 특화사업으로 △한류 메타버스 거점 조성 △글로벌 메타버스 혁신특구 조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위해 △한류 통합 커뮤니케이션 센터 △한류 메타버스 월드 △메타버스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정부의 글로벌 혁신특구 정책과 연계해 규제특례, 조세감면, 정주여건 등 지원 인프라를 조성하고, 혁신특구 내 세계적 수준의 메타버스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국내외 기업 및 연구소를 유치하고 집적화한다는 계획이다.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 사진/김영삼 기자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 사진/김영삼 기자

또 경북도는 기본계획의 원활한 달성을 위해 기반 조성, 인력 양성, 기업 육성, 생태계 활성 등 분야별 메타버스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분야별 대표 격 사업으로는 △메타버스융합진흥센터 설립 △청년 메타버스 창작 페스티벌 개최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한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메타버스 국제 기술협력 △메타버스와 공항(Airport)을 결합한 메타버스 특화 플랫폼인 ‘메타 포트’ 구축 등이 있다. 

이러한 기본계획 추진을 통해 경북도는 오는 2026년까지 메타버스 육성 거점 5곳 구축, ,R&D 콘텐츠 150건 개발, 마케팅·인증·실증 등 기업 1615개社 지원, 크리에이터 등 인력 6260명 양성, 가상 도민(메타 인구) 1000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6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6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무한 경쟁에 직면한 경북이 다시 과거의 영광을 누리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시대의 주도권을 차지해야 한다”며 “경북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메타버스 수도로 도약하기 위해 도는 물론 중앙정부와 도민 여러분들이 함께 힘을 모아달라”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