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분야 정책’ 공약, 혁신성장 3대 전략 발표···증세 필요성도 언급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도전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소통관에서 열린 경제분야 정책발표 기자회견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김경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도전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소통관에서 열린 경제분야 정책발표 기자회견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김경민 기자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사표를 던진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6일 국가투자시대를 열어 모두의 번영과 지속 가능한 선진국을 만들겠다”고 경제 분야 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을 전문가 이상의 역량을 갖춘 경제 주체로 보고, 이들이 성장 과정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도록 경제구조를 바꿔야 한다”면서 정부의 전략적 투자를 중심축으로 한 ‘혁신성장 3대 전략’을 제시했다.

혁신성장 3대 전략은 ▲대기업 글로벌 경쟁력 여건 형성과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초광역 단위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 ▲인재공화국 양성이다. 

김 전 지사는 “대기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정부는 벤처와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집중해 성장방식의 혁신을 이루겠다. 수도권 일극 집중에서 벗어나 전국이 커다란 혁신 무대가 되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AI)’과 ‘기후경제’ 전환을 강조했다.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산업 맞춤형 AI 프로젝트 ▲5대 첨단기술(R&D) 분야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 원 조성 등이 골자다. 그는 “한국형 전환모델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면서 “모두가 같은 목표를 향하고 있는 지금 중요한 건 ‘어떻게 갈 것인가’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밖에 ▲벤처·스타트업 지원 ▲상법·자본시장법 개정 ▲5대 메가시티별 정책금융기관 설립 ▲가상자산 제도 정비 등을 제시했다. 정부의 적극 재정 전략을 위한 ‘증세’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김 전 지사는 “대한민국 경제는 국민 개개인의 참여와 기여로 성장해 왔다”고 진단하면서 “다음 정부에서 증세를 국민과 논의할 수 있도록 정부가 뼈를 깎는 노력의 자기 혁신을 해야 하는데, 그런 과정에서 필요한 재정을 놓고 증세를 포함해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