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027년까지 포항·광양제철소에 제논 가스 생산 설비 10기 설치

포스코 광양제철소 산소공장의 대형 공기분리장치 전경 / ⓒ포스코
포스코 광양제철소 산소공장의 대형 공기분리장치 전경 / ⓒ포스코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포스코와 삼성전자가 현재 100% 수입에 의존 중인 반도체 핵심 소재 '제논(Xe)'가스의 국산화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27일 포스코는 삼성전자와 '반도체용 제논 가스 사업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제논의 국산화를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다. 포스코가 제논의 생산 기술 개발 및 생산·공급을 담당하고, 삼성전자가 제논의 품질인증 및 구매를 맡는 방식으로 협력해나간다.

포스코는 2023년 하반기까지 광양제철소 대형 공기분리장치 1기에서 방산되는 잔여 가스로부터 제논을 추출하는 설비를 개발해,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제논 생산을 시작해 삼성전자에 양산 공급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2027년까지 포항·광양제철소 공기분리장치 약 10기에 제논 가스 추출 설비를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하면서 생산량을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제논은 네온(Ne), 크립톤(Kr)과 함께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희귀가스 중 하나다. 오랫동안 조명(램프) 등에 널리 쓰였으나 인공위성 추진체,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확대 적용되면서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역시 첨단 반도체 생산 공정에 제논 가스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 수요처들은 미국, 중국, 남아공 등에서 전량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으로 지난해 대비 수입 가격이 2배 이상 상승해 제논 가스의 국산화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요구가 큰 상황이다.

한편 포스코는 제철공정에 필요한 산소, 질소, 아르곤의 생산을 위해 다수의 대형 공기분리장치를 보유 중이며, 2019년부터 이를 활용해 제논, 네온, 크립톤 등 희귀가스의 국산화를 추진해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