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00%p 인상 상품도 있어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한국은행이 10년 만에 기준금리를 연 3%로 상향 조정하면서 시중은행들도 예·적금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금리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오는 14일부터 예·적금 39종에 대해 수신 상품 기본금리를 최고 0.8%p 인상한다고 13일 밝혔다.
상품별 가입기간에 따라 거치식 예금은 최고 0.8%p, 적립식 예금은 최고 0.7%p 인상된다.
이번 인상으로 신한은행 대표 적금인 ‘신한 알.쏠 적금’ 12개월제는 0.5%p 인상돼 최고 연 4.45%가 적용되며 첫 거래 고객을 위한 ‘신한, 안녕 반가워 적금’은 최대 연5.2%, 그룹사 고객 우대 상품인 ‘신한 플러스 포인트 적금’은 최고 연 5.0%가 된다.
또한 신한은행의 친환경 실천을 위한 ESG 상품인 ‘아름다운 용기적금’은 0.6%p를 인상해 최고 연 4.6%가 적용되며 소상공인 우대 대표상품인 ‘신한 가맹점 스윙적금’은 0.7%p를 인상해 최고 연 4.5%가 된다.
정기예금은 대표 상품인 ‘S드림 정기예금’ 12개월제의 기본금리가 0.6%p가 인상되고 은퇴고객 대상 ‘미래설계 크레바스 연금예금’의 기본금리는 기간별 0.6%p~0.8%p 인상된다.
우리은행은 오늘부터 19개의 정기예금과 27개의 적금 금리를 최대 1.00%p 인상한다.
예금상품은 비대면 전용 ‘우리 첫거래 우대 정기예금’을 최고 연 3.80%에서 최고 연 4.80%로 1.00%p 인상하며, 그 외 다른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0.30%p~0.50%p 인상한다.
적금의 경우 ‘우리 페이 적금’, ‘우리 Mgic적금 by 롯데카드’를 1.00%p 인상하며 그 외 대부분의 적금상품 금리를 0.30%p~0.80%p 인상한다.
인상된 금리는 10월 13일 이후 가입하는 상품에 대해 적용되며, 영업점 창구뿐만 아니라 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 등 비대면 채널을 통해서도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NH농협은행은 오는 14일부터 정기예금 금리를 0.50%p, 적금 금리를 0.5∼0.7%p 올린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도 조만간 예·적금 금리 인상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전날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에서 3.00%로 상향 조정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약 10년 만이고, 다섯 차례 연속 인상(4·5·7·8·10월)도 한은 역사상 최초다. 이 기간 동안 두 번의 빅스텝(기준금리 0.50%p 인상)을 포함해 기준금리는 0.50%에서 3.00%로 올랐다.
관련기사
- 한은 ‘5연속 인상’…10년 만에 기준금리 3% 시대
- [국감] 이복현 “도이치 주가 조작 관련 경찰 공문 없었다…사모펀드·은행 문제는 검토 중”
- 윤종규 KB금융 회장 “KB, 대한민국 금융 대명사로 거듭나야”
- NH농협금융, 취약계층 금융지원에 27조원+α 푼다
-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 2만 6957명…위중증 이틀째 200명대
- 두산밥캣, '농업장비 전진기지' 美 노스캐롤라이나 공장 증설
- 신한은행, 4배 빠른 금융앱 ‘뉴 쏠’ 출시
- 우리은행, ‘1000兆’ 규모 국민연금공단 주거래은행 ‘우협’ 선정
- 美 연준, 사상 첫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은의 선택은?
- 계속된 금리 인상에 시중은행 정기예금도 ‘연 5% 금리’ 시대
- 한은, 기준금리 ‘6연속 인상’…보폭은 0.25%p로 완화
- KB국민은행, 주담대·전세대출 금리 최대 1.3%p 인하
- 롯데카드, 이사회 내 ESG위원회 신설…초대 위원장에 이복실
- 롯데카드, ‘환승프로젝트’ 오픈…가전·스마트폰 저렴하게 사고 캐시백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