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 불균형 해소 이뤄져야…북한 비핵화에 중국의 역할 촉구해야”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8일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이훈 기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8일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이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한중정상회담 하루 전인 31일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서해 잠정조치수역 내 중국의 불법 해양구조물 문제를 분명히 제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내일 열릴 한중정상회담에 대해 말씀드리는데 이번 회담은 무엇보다 대한민국의 안보와 국익을 지키는 회담이 되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해당 구조물이 중국 해군, 해경의 작전 지원이나 군사, 정보수집시설로 활용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만큼 철거를 명확히 요구해야 한다”며 “보여주기식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실질적인 외교 성과를 통해 국익을 지켜내는 회담이 되려면 중국으로부터 우리의 이익을 지켜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송 원내대표는 “문화산업의 불균형 해소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중국이 자국 내에서 우리 문화 콘텐츠를 금지하는 ‘한한령’은 명백한 불공정 조치다. 우리 드라마, 음악, 게임 등 문화산업이 중국 내에서 공정하고 합당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정부는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북한 비핵화에 대한 중국의 책임 있는 역할을 촉구해야 한다”며 “중국은 대북제재 이행에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해 왔다. 이제는 동북아의 책임 있는 국가로서, 국제사회의 비핵화 노력에 동참하고 대북제재 이행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송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이 내세운 ‘브릿지 외교’는 지금 강대국 간 이해가 첨예하게 맞서는 냉혹한 국제정치의 현실 속에서 붕괴 위기에 놓여 있다”며 “정부의 외교가 빈 수레처럼 요란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조용하지만 강한 실익 중심 외교로 국민의 이익을 지켜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