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MOU

30일 LG전자, 두산로보틱스, 서울시청은 서울시 중구 소재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산
30일 LG전자, 두산로보틱스, 서울시청은 서울시 중구 소재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산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LG전자와 두산로보틱스, 서울시가 국내 전기차 충전 솔루션 사업 확대에 손을 잡았다.

30일 LG전자, 두산로보틱스, 서울시청은 서울시 중구 소재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양적 확대 및 급속충전, 교통약자 도움형 등 다양한 수요에 최적화 된 맞춤형 솔루션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LG전자는 넥씽 등 충전 사업자에게 급·완속 충전기를, 두산로보틱스는 LG전자 급속 전기차 충전기에 협동로봇을 접목한 전기차 자동 충전 솔루션을 제공한다.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 설치 후보지 제공과 부지 임대 및 인허가 등 행정지원을 담당한다.

LG전자는 오는 2026년까지 서울시 운영 건물, 공원, 주차장 등에 급속충전기 50대 이상을 설치한다. 아울러 LG전자는 클라우드 기반 관제 플랫폼 이센트릭(e-Centric)을 통해 충전 현황 등 충전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LG전자와 두산로보틱스가 선보인 전기차 자동 충전 솔루션은 전기차가 충전 가능 구역에 주차한 뒤 충전구를 열면 협동로봇에 부착된 3D 비전 카메라가 전기차 충전구 위치를 파악해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를 충전구에서 탈거해 원위치시킨다. 이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고객도 충전 케이블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쉽게 충전할 수 있다.

LG전자와 두산로보틱스는 시립 마포실버케어센터에 첫 전기차 자동 충전 솔루션을 공급하고 오는 2026년까지 주민센터와 복지시설 등 10곳에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서흥규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은 “차별화된 품질의 충전기와 관제 플랫폼이 결합한 최적의 충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요를 공략해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솔루션 사업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서울시 충전소 보급 정책에 맞춰 전기차 자동 충전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공급해 시민 교통 편의를 제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