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 본격 추진
KT, AI 등 전문성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 가속화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이동통신 3사가 내년도 정기 임원인사와 조직개편을 완료했다. 각 사는 모두 ‘인공지능(AI)’에 방점을 찍고 관련 기술과 사업 확장, 인재 영입에 주력할 전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지난 7일 SK텔레콤을 마지막으로 조직개편을 모두 마무리했다.
SK텔레콤은 지난 9월 글로벌 AI 컴퍼니 도약을 위해 ▲AI인프라 ▲AIX ▲AI서비스 등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자강과 협력에 기반한 산업과 생활 전 영역을 혁신하는 AI 피라미드 전략 추진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조직 개편에서는 이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 4대 사업부 체계를 구축했다.
‘AI서비스사업부’와 ‘글로벌/AI테크사업부’는 글로벌 PAA와 함께 텔코 특화 LLM을 만들기 위해 자강과 협력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유무선 통신,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기존 핵심 사업의 AIX 전환도 적극 지원한다.
‘T-B 커스터머사업부’와 ‘T-B 엔터프라이즈사업부’는 유무선 통신,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전 사업 영역에서 AI를 적극 도입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적극 발굴한다. 이와 함께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T-B 원바디 체제로 시너지를 대폭 강화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글로벌 시장에서 AI 솔루션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이를 전담할 ‘톱 팀’ 조직을 신설해 운영한다.
‘글로벌 솔루션 오피스’를 신설해 AI DC, UAM, AI반도체, 양자, 엑스칼리버 등 AI 솔루션 관련 내부 역량을 결집해 글로벌 시장에 맞춰 사업 확장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신설되는 ‘글로벌 솔루션 테크’는 ‘글로벌 솔루션 오피스’를 기술적으로 밀착 지원하며 시너지 창출에 나선다. 신설 조직은 기존 엔터프라이즈 사업의 AIX 지원에도 앞장선다.
SK텔레콤은 ESG, CR, PR 기능을 총괄하는 ‘대외협력 담당’을 신설해 기존 사업과 더불어 AI 및 글로벌 사업 확장을 지원한다. AI 거버넌스를 정립하고 글로벌 환경에서 CR/PR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SK텔레콤은 2024년 임원인사를 통해 16명을 신규 임원으로 선임한다고 밝혔다. 신규 임원은 AI 피라미드 전략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물론, 성과와 리더십이 검증된 인재로 선발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전 구성원이 AI 역량과 글로벌 사업 수행 역량을 키우며 AI 인재로 성장하는 일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KT는 지난달 30일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KT는 이번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통해 조직·인사를 합리적으로 쇄신해 기업의 준법경영을 강화하고, 대내외 신뢰회복과 함께 장기적 성장 발판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그간 논란이 됐던 사법 리스크를 해소하고 기업이미지 개선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역할이 중복되는 그룹Transformation부문을 해체하는 등 본원적 기능 중심의 조직개편이 진행된다. 본사 스탭 조직인 CSO(최고전략책임자), CFO(최고재무책임자), CHO(최고인사책임자) 등을 CEO 직속으로 편제하고 경영지원 기능을 더욱 체계적으로 조직화한다.
KT는 AI 등 핵심 기술 역량 강화를 통해 B2B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한다. 연구단계에서 서비스 구현까지 기술개발 전 과정의 혁신을 위해 기존의 IT부문과 융합기술원(R&D)을 통합해 ‘기술혁신부문’을 신설한다.
또한 최근 초거대 AI ‘믿음’을 상용화한 데 이어, AI 사업을 본격화하고 동시에 AI 거버넌스를 수립하기 위해 AI 연구개발 조직을 강화하고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기존 AI2XLab과 외에도 AI Tech Lab을 추가로 신설해 AI분야 핵심 기술 경쟁력을 키워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기술혁신부문 산하에 클라우드, AI, IT 분야의 역량이 뛰어난 고수 집단의 ‘KT컨설팅그룹’을 신설해 고품질 과업수행을 담보하고 B2B 시장에서 전문성으로 승부한다는 복안이다.
한편, KT는 업계에서 인정받는 전문가를 영입해 전문성을 기반으로 사업경쟁력과 경영관리를 고도화시켜 나갈 예정이다.
신설한 기술혁신부문장(CTO)으로 오승필 부사장을 영입했다. 오 부사장은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현대카드/커머셜을 거친 IT전문가로, KT그룹의 IT·AI 거버넌스 체계 수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술혁신부문 산하 KT컨설팅그룹장에는 정우진 전무를 영입했다. 정 전무는 삼성SDS,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등을 거친 디지털 클라우드 기술 컨설팅 전문가로, KT그룹 내 클라우드, AI, IT분야의 기술 컨설팅 조직을 이끈다.
LG유플러스는 전병기 AI·데이터사이언스그룹장을 전무로 승진시키는 등 AI와 빅데이터 기반 기술 및 사업을 확장하려는 모양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고객 경험 혁신을 통해 기존 통신 사업의 기반을 견고히 함과 동시에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신사업의 추진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며 “특히 AI/데이터 기반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 고객 관점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미래 신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적극 중용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SK텔레콤, 글로벌 텔레콤 어워드서 ‘올해의 보안 솔루션’ 부문 수상
- KT,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고객·역량·실질·화합’ 강조
- SK텔레콤, 동남아 3개국 메타버스 시장 공략 ‘잰걸음’
- KT, ‘그룹 DX원팀’ 우수 성과 그룹사에 포상
- SK텔레콤, 통신 빅데이터 활용해 ‘지하철 혼잡도’ 제공
- 이통 3사, 성탄절·연말연시 앞두고 통신품질 관리 총력
- KT, 안산 다문화거리에 ‘KT 외국인 센터’ 오픈
- LG유플러스, 2400만여 고객에 신종 스미싱·보이스피싱 사기 주의 안내
- 2024년 전략 발표한 이통 3사…‘AI·데이터·플랫폼’ 강조
- KT, 갤럭시 S24 모델도 ‘이강인’…후원 재계약
- KT그룹, ‘AI 동맹’ 리벨리온에 총 3300억원 투자 단행
- KT-신한은행, 하이브리드형 양자 보안 망 구축 성공
- SK텔레콤 ‘퀀텀 얼라이언스’, 명칭 확정하고 양자암호칩 출시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