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서 발견’ 미기록종 곤충, 절반은 열대·아열대성

섬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영향 가늠하는 환경지표로 주목

2025-11-19     이청원 기자
거제도에서 발견된 푸른줄까마귀왕나비 사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19일 밝혔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연구진이 이들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로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발견됐다.

한국 경우,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뚜렷한 온대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저위도의 더운 기후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발견되는 현상은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로 주목 받고 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가거도·흑산도 등 원거리 섬과 제주도·울릉도 등 국내 주요 섬에서 곤충·어류·지의류 등 다양한 열대·아열대 생물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조사 중이다.

연구진은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45종 중 ‘남방가는나방’ 등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했고 나머지 종들도 학술논문 발표 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한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상당수가 열대 또는 아열대성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기후변화가 한국 생물다양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신호”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