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성공 경북도, ‘포스트 전략’ 본격 가동

APEC 성과 확산 위한 10대 사업 추진 관광객 급증·호텔 투자 문의 쇄도 가시화 AI센터 유치로 아태지역 디지털 강도 도약

2025-11-19     김영삼 기자
19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경북도청 다목적홀에서 ‘포스트 APEC 추진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APEC 성공 개최의 유산을 경북 전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10대 핵심사업의 세부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김영삼 기자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가 2025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의 성과를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포스트 에이펙(APEC) 전략을 본격 가동했다.

경북도는 19일 경북도청 다목적홀에서 ‘포스트 APEC 추진 전략 보고회’를 개최하고 APEC 성공 개최의 유산을 경북 전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10대 핵심사업의 세부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경북연구원과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획한 것으로, 핵심사업에 대한 연구용역도 병행 진행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PEC의 유산이 경주뿐만 아니라 경북 전역에 확산되는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며 “벌써부터 경주뿐만 아니라 경북 전역에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으며 글로벌 호텔 체인의 투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문화관광 포스트 APEC 추진전략ⓒ경북도

문화관광 분야 글로벌 거점화 추진

포스트 APEC 사업의 핵심축인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K-컬처와 경주 APEC 성공을 바탕으로 글로벌 10대 문화관광거점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설정했다. 가장 한국적인 문화유산과 관광자원을 활용해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경주포럼’을 대한민국 문화산업 경쟁력을 업그레이드하는 문화 다보스포럼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교류 및 한류 확산의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이다. ‘APEC 문화전당’은 경주 APEC의 역사적 랜드마크 시설로 조성해 APEC 회원국 간 핵심 교류·협력의 장으로 운영한다.

‘보문단지 대리노베이션’ 사업을 통해서는 APEC 조형물 설치, 회원국 상징 정원 조성 등 경관 및 진입도로 개선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미래 관광단지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또한 ‘APEC 연합도시 협의체’를 구성해 개최 도시 간 문화교류와 정책 협력을 통해 경북의 도시경쟁력과 브랜드파워를 높여나간다는 방침이다.

AI경제산업 포스트 APEC 3대 성장축ⓒ경북도

AI 미래공동체 비전 구현

AI경제산업 분야에서는 본격적인 AI 시대에 대응해 AI·경제 협력을 아태지역 공동번영의 모델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경북은 AI를 활용해 함께 잘살고 행복한 대한민국 AI 미래공동체를 만들겠다는 비전 아래 저출생과 전쟁, K-방역 등 경북의 혁신정책을 인구돌봄AI, 재난안전AI, 교통물류AI 등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포항, 구미, 안동·예천의 데이터센터를 AI 고속도로로 연결하고 경산의 AI 인재양성을 더해 AI 미래공동체 비전을 구현한다는 전략이다. ‘아시아태평양 AI 센터’ 유치를 통해서는 대한민국을 넘어 APEC 회원국 간의 AI 격차 해소에도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기업인과 세계 주요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플랫폼인 ‘경주 CEO 서밋’과 경주타워에 AI 미디어아트를 적용한 디지털 랜드마크인 ‘APEC 퓨처스퀘어’도 함께 추진해 APEC 성공 개최의 감동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평화번영 포스트 APEC 3대축ⓒ경북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지속가능 발전

지속가능한 내일의 토대인 평화와 번영을 위한 포스트 APEC 사업도 동시에 추진된다. 경북은 저출생과 전쟁의 성과를 확산·공유할 수 있는 ‘국립인구정책연구원’을 경북에 유치하고, APEC 회원국 간의 인구구조 변화에 공동 대응할 ‘APEC 인구정책 협력위원회’ 설치도 제안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세계 평화 실현을 위해서는 한반도 평화통일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미를 품은 ‘신라통일평화정원’과 전국민의 통일 염원을 담은 ‘한반도 통일미래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오늘 발표하는 10대 사업뿐만 아니라 경상북도 전역에 APEC 성공의 혜택이 이어질 수 있도록 연합도시 모델과 같은 광역사업을 구상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포스트 APEC 사업 발굴로 후손들에게 대한민국과 경상북도의 미래 유산을 남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