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15년 만에 증가 전망

10월 말 기준 3만5,328ha 인증…전년보다 1,034ha 증가 동계작물 화학비료 금지 등 인증 취소 방지대책 논의

2025-11-16     최영남 기자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회의. 사진/전남도청

[전남취재본부 / 최영남 기자] 전라남도의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15년 만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남도는 친환경농산물 인증 취소를 막기 위한 대책 논의에 나섰다.

도는 지난 11일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도·시군 담당 공무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농산물 인증대책 회의’를 열고 동계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살포 금지 등 주요 관리 방안을 점검했다.

16일 전남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도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3만5,328ha로, 지난해 말보다 1,034ha 증가했다. 친환경농업직불금 단가 인상,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전량 매입, 쌀 생산조정제, 신규 재배 확대 등이 증가 요인으로 꼽힌다. 인증면적이 증가한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회의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과 이상기후 등 인증 취소로 이어지는 문제를 공유했다. 주요 취소 사유로는 논두렁 제초제 사용, 유기농 논의 동계작물 재배지에서의 화학비료 살포, 병해충 방제 과정의 합성농약 사용 등이 지적됐다. 그러나 의무교육 강화, 방제업체·농가 안전성 교육, 드론 방제 사전신고제, 단지 현장 점검 등으로 올 인증 취소 면적은 감소하는 추세다.

전남도는 인증 유지와 확대를 위해 ‘논두렁 조성 효율화 지원사업’을 시범 추진하고, 유기농 벼 재배지에는 두과 녹비작물 공급을 확대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일 계획이다. 또한 인증 농가의 타인 임대 금지, 공시된 유기질비료 사용 준수 등 기본 사항도 강조했다.

아울러 출하 전 잔류농약 검사 의무화, 친환경 육묘 상자 처리제 사용, 인증기준 미달 농자재 사용 금지, 영농 시기별 인증 기준 안내 문자 발송 등 생산단계부터의 안전성 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인증 취소 방지대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실행력을 높이고, 단지화·집적화·품목 다양화를 통해 유기농 중심의 친환경 농업을 확산하겠다”며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농산물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