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주민 소통 강화로 산불 막는다…‘예방 중심’
산불감시원 ‘책임구역제’ 도입, 발생 전 차단 산불 잠재요인 집중 점검, 안전한 가을 준비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경북 봉화군이 가을철 산불 예방을 위해 기존 대응 체계를 전면 개편하며 선제적 차단 전략에 나섰다.
봉화군은 13일 부군수 주재로 각 읍·면장들이 참석한 가을철 산불방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주민과의 소통 강화와 산불 발생 잠재 요인에 대한 현장 점검 체계 구축이 핵심 안건으로 다뤄졌다.
회의에서 봉화군은 가을철은 산불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건조한 기후 조건과 불법 소각 등으로 인해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며 사전 예방 중심의 현장 점검 강화 방침을 제시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산불감시원의 역할 변화다. 기존 단순 순찰과 감시 업무에서 벗어나 각 감시원에게 지정된 ’책임구역‘ 내 산불 잠재 요인 발굴과 차단 업무로 역할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수동적 대응에서 능동적 예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주민 참여 확대 방안도 구체화됐다. 마을방송, 문자 안내, 현장 계도 등 다각적 홍보 활동을 통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산불 예방에 참여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각 읍·면에서는 집중 점검 대상을 명확히 설정했다. 불법 소각 우려 지역, 독거 가구 쓰레기 상습 소각지, 화목보일러 사용 농가 등 산림 인접 위험시설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했다. 위험 요인 발견 시에는 즉시 정비하거나 관련 부서와 연계해 조치할 예정이다.
봉화군은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가을철 산불 예방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산불감시원을 중심으로 한 선제적 예방 활동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박시홍 봉화군 부군수는 “산불은 발생 후 진화보다 발생 자체를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각 읍·면에서는 산불 위험 요소의 사전 점검 체계를 내실화해 안전한 산림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