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성인 3명 중 1명 비만, 최근 10년간 약 30.8% ↑
비만율 전남·제주 가장 높고, 세종 가장 낮아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질병관리청은 한국의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34.4%)으로 지역별로는 전남·제주의 비만율이 가장 높고(36.8%), 세종이 가장 낮다(29.1%)고 10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질병관리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분석에는 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산출된 비만율이 활용됐다.
조사결과 한국의 성인 비만율은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약 성인 3명 중 1명(34.4%)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 약 4명 중 1명(26.3%)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자가보고 비만율이 약 30.8% 증가한 것이다.
남성의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사회생활을 활발히 하는 30대(53.1%)와 40대(50.3%)가 비만율이 높아 약 2명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한국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2명중 1명(54.9%)이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하다고 답변했다. 비만인 사람들 중에서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이 남성 77.8%, 여성 89.8%로 대부분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36.8%)과 제주(36.8%)였고,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29.1%)으로 나타나 광역시·도별로도 비만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OECD 평균(56.4%)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비만 치료제 사용이 활발해 지면서 체중 조절, 다이어트 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비만은 여러 만성질환의 선행질환으로 비만 관련 인식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