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청년의 생각 담아 청년정책 만든다
‘청년정책 소통간담회’ 개최, ‘8대 대표 과제’ 공개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청년의 시선에서 문체부 정책을 새롭게 바라보고, 청년의 경험과 생각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청년정책 소통간담회: 생각을 담다, 청년정책이 되다’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청년의 정책 참여를 제도화하기 위해 지난 1월 문화예술과 콘텐츠·관광·체육 등 3개 분과로 구성한 ‘제2기 2030자문단’을 선발했다. 자문단은 부처 실무진과 협력해 ‘청년참여협의단’을 결성했다. ‘청년참여협의단’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청년이 직접 제안한 분야별 정책 의제를 함께 토론해 ‘8대 대표 과제’를 도출했다.
‘8대 대표 과제’는 ▲생활예술 활성화를 위한 중장년층 대상 문화예술교육 신규사업 운영 ▲지역 기반 맞춤형 예술인 복지 실현을 위한 민관 협력(거버넌스) 체계 구축 ▲콘텐츠 교육성과 제고를 위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 개선 ▲방송영상독립제작사 세계 진출 지원 ▲지방소멸 방지를 위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산업관광을 통한 특수목적 관광객 유치 및 지역관광 활성화 ▲체육인 맞춤형 복지 및 경력개발 종합지원체계 마련 ▲국제스포츠 대회 단복 품질 개선 등이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올해 하반기 청년인턴 채용에 처음으로 도입한 정책 제안서 제출을 바탕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청년인턴이 제안한 ‘비수도권 청년 시각예술인 창작 생태계 강화’ 정책도 발표한다. 청년인턴의 문체부 경험을 공유하는 ‘청년인턴생활기’를 함께 소개하고 청년세대가 바라보는 정책 과정에 관한 생각을 나눈다.
최휘영 장관은 “이번 간담회는 청년이 정책의 수혜자를 넘어 ‘정책의 설계자’로 참여한 의미 있는 과정”이라며 “앞으로도 청년의 다양한 생각이 문체부 정책 전반에 스며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11월 1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2025 제3차 청년문화포럼’을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