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문자결제사기 스미싱 주의보
“소비쿠폰 안내 문자에 URL 링크는 100% 사기입니다”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와 맞물려 지급대상·금액 안내와 카드 사용 승인 및 신청 등의 내용을 사칭한 문자결제사기(스미싱)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10일 밝혔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카드사(앱·홈페이지·콜센터·ARS)와 지역사랑상품권 앱과 홈페이지 등에 접속해 비대면(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 및 지방자치단체(주민센터)에서 대면(오프라인)으로 신청해야 한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비대면 신청 시 신청페이지에 스미싱 ‘주의’ 안내문구를 포함하고 어르신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은행 및 지방자치단체(주민센터)를 통한 대면 신청 시 스미싱 ‘주의’ 안내도 같이 진행한다.
이용자는 스미싱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비서 사전 알림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국민비서·카드사·은행 외에 출처가 불분명한 SNS 안내 문자를 받은 경우와 정부·카드사를 사칭한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SNS 안내 문자를 받은 경우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스미싱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정부·카드사·지역화폐사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해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URL·링크)’가 포함된 문자 및 SNS는 일절 발송하지 않는다.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문자 내 인터넷 주소(URL)를 클릭한 이후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24시간 무료로 운영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전인 오는 14일부터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해 스미싱에 대한 이용자의 경각심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네이버·카카오·토스 등 17개사)를 활용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및 지급 안내 시 ‘스미싱 주의 메시지’를 같이 발송하는 등 다양한 창구를 통해 스미싱 주의 사항을 안내한다.
정부는 문자결제사기(스미싱)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해 스미싱 발생 및 신고 현황 모니터링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