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팩토리 본격 추진…K-휴머노이드 실증 투입
기업수요 등 감안 AI 자율제조, ‘AI 팩토리’로 전면 개편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AI) 활용을 돕는 사업인 AI 자율제조 프로젝트를 ‘AI 팩토리’ 프로젝트로 이름을 바꾸고 확대 개편해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제조현장에 AI를 도입해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는 정부사업에 기업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AI 자율제조가 시작된 첫해임에도 213개의 수요가 몰릴 정도로 기업들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올해는 지난해의 2배가 넘는 519개의 기업수요가 접수됐고, 지난해 참가하지 않았던 대표 제조기업들도 새롭게 참여 의사를 보이면서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우선 AI가 새롭게 접목되는 연간 제조 현장의 수를 현재 26개에서 2030년 100개 이상으로 확대한다. 제조업과 AI의 결합은 기업들의 필수 생존전략인 만큼 기계·로봇 기술개발 등 유관 예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예산 증액을 위해 예산당국·국회 등과 긴밀히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양적 확대와 더불어 사업도 다각화한다. 지난해 자동차·조선 등 대규모 제조 현장을 중심으로 이뤄졌던 프로젝트를 올해부터 소규모 제조 현장이나 프랜차이즈·유통·물류 등의 소비자 이용시설 등에 확대 적용된다.
AI 도입 효과를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전 산업에 확대 적용하고, AI에 대한 국민적 체감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들 프로젝트는 기존 사업과는 다르게 단년으로 추진된다.
올해부터는 대기업부터 1~3차 벤더인 중견·중소기업까지 하나의 공급망내에서 AI가 체계적·수직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대·중·소 협력 프로젝트도 별도로 가동된다. 지난 4월 출범한 K-휴머노이드 연합을 중심으로 제조현장에 ‘휴머노이드’를 본격 투입해 실증하는 사업도 추진된다.
산업부는 AI 팩토리 얼라이언스를 통해 모든 제조현장에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도 만든다. 파운데이션 모델은 개별 사업에서 축적한 지식과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생기원·전자연 등 전문연구기관들과 전문기업 등이 함께 개발하게 된다.
올해 추진될 4가지 AI 팩토리 사업들은(대규모·미니·대중소 협력·휴머노이드) 각 사업별로 5월 말~6월 초에 사업공고를 시작해, 6~7월 중 과제가 최종 선정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