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중소기업 살아야…상속세 면제·최저임금 차등화 할 것”
주52시간제 탄력적 적용·임금체계 직무성과급제 개편 등도 공약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가 28일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상속세 면제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등을 검토하겠다고 천명했다.
홍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인과의 대화를 통해 “중소기업이 가업 상속할 때 상속세를 면제하지 않으면 중소기업이 지속하기 어렵다”며 “상속세가 너무 많으니 이분들이 기업을 팔고 부동산 투자하거나 건물 매입해 임대업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홍 후보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아직 상속세를 다 못 냈을 것이다. 중소기업이 가업을 상속할 때는 상속세를 면제해야 한다”면서 “최저임금이 갑자기 높아지다 보니 소기업, 자영업자들이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기 어려워 모든 가족이 장사에 매달려야 한다. 최저임금 적용시 지역별, 업종별, 외국인별 차등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고 사실상 최저임금 차등화도 공약했다.
특히 그는 “강성 노조는 정비해야 한다. 이해 당사자인 소상공인, 중소기업인을 중심으로 위원회를 구성해야지, 대기업 노조만 주로 담당하는 민주노총이 들어와 최저임금을 좌우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최저임금위원회를 구성할 때 민주노총을 배제하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뿐 아니라 홍 후보는 주52시간제와 관련해서도 “기업을 규제와 간섭으로 억압하는 구조로 40년간 지속하다 보니 경제규모는 커지는데 중소기업이 발전하기 굉장히 어렵게 됐다”며 “집권하면 규제부터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또 그는 “해고가 어렵다보니 중소기업도 그렇고 대기업도 정규직을 뽑지 않는다. 해고의 유연성을 전제로 하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등을 둘 필요 없다”며 “호봉급 임금 체계도 직무성과급으로 바꿔야 한다. 일 잘하면 들어온 지 3년 된 사람도 바로 부장 될 수 있고 일 못하면 들어온 지 10년 된 사람도 바로 잘릴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 후보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우리 경제의 뿌리”라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살아야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 선진경제대국, 잘 사는 나라, 행복한 나라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천명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중소기업인들은 홍 후보에게 인구위기 대응을 위한 인구부 신설, 중소제조업 부흥을 위한 대통령 직속 혁신전환위원회 신설, 중소기업 협동조합 협의요청권 등을 제안했다.
한편 이날 중소기업인 40여명이 참석한 중소기업인과의 대화에는 김기문 중기중앙회장, 윤학수 대학전문건설협회장,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 김명진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장 등이 자리했다. 홍 후보 측에선 대선 예비후보 비서실장을 맡은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이 함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