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산불피해 규모 10만4000ha…예상보다 2배 확대
산불피해지역, 2차 피해 예방 위해 응급 복구 추진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산림청이 경북·경남·울산 산불피해에 대한 정밀 조사 결과, 10만 4000ha(헥타르)의 산림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지역별 잠정 산림피해면적은 ▲경북 9만 9289ha(의성 2만 8853ha·안동 2만 6709ha·청송 2만 655ha·영양 6864ha·영덕 1만 6208ha) ▲경남 3397ha(산청 2403ha·하동 994ha) ▲울산(울주) 1190ha다.
산불진화 완료 당시 산불영향구역은 4만 8000ha였으나, 산림복구를 위해 이번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산불피해면적은 당초보다 2배 확대됐다.
산림청은 “이번 산불의 경우 극한기상으로 인한 태풍급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서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으로 포함되지 않았으며, 강풍·연무 등으로 화선 관측 장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했다.
산불영향구역은 산불진화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헬기영상, 드론영상, 지상관측 등에서 파악한 화선 경계를 표시한 구역이다. 산불피해면적은 산불 피해복구를 목적으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산불피해가 발생한 산림 면적이다.
산림청은 산사태·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집중조사 지역 4207개소에 대해 3월 28일부터 4월 11일까지 긴급진단도 완료했다. 조사된 지역은 2차 피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응급복구를 실시하고, 생활권과 주요시설물 주변의 산불피해목을 신속히 제거하기로 했다.
피해 정도에 따라 자연복원·생태복원·조림복원 등 다양한 복원방법을 적용해 생태적 건강성을 회복하고, 임업인의 소득기반을 재건할 계획이다.
산불피해지의 체계적·합리적 복구를 위해 피해주민 및 산주는 물론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지역 단위의 ‘산불피해지 복원추진 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 안전·환경·생태 뿐 아니라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 역시 수립해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