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군수, 공무원 차출 ‘모친 주택 우선 진화’ 논란
산불 피해 속 ‘공직자 윤리’ 문제 도마 위에 올라 청송군 산불로 770동 주택 피해, 이재민 865명 발생 “자기 집만 챙긴 군수”에 주민들 분노와 배신감 고조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 청송군을 덮친 대형 산불 속에서 윤경희 군수가 자신의 모친 소유 주택을 보호하기 위해 공무원들을 동원했다는 의혹으로 공직자의 윤리 의식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의성에서 시작된 대형 산불로 청송군은 주택 770동을 비롯해 국가유산 9개소, 농작물 355헥타르, 농업시설 1636동, 농기계 3646대, 가축 등 다방면에 걸쳐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865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러한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윤경희 군수는 산불진화대책본부의 공식 지시 없이 공무원 4~5명을 차출해 자신의 모친 소유 주택을 보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복수의 목격자들은 군수가 긴급 상황 속에서도 개인 재산 보호를 우선시했다고 증언했다.
한 지역 주민은 “재난 상황에서 개인의 이익을 먼저 챙기는 공직자의 행위는 용납될 수 없다”라고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현장 조사 결과, 인근 주택과 공원은 불길에 휩싸였으나, 군수 모친의 주택은 수목울타리 일부만 소실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청송군 관계자는 “급박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직원 파견 자료가 없어 확인할 수 없다. 당시 신고 전화가 오는데로 직원들이 현장을 점검했다”고 해명했으나, 주민들의 실망감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번 사건은 청송군의 공직 윤리에 대한 중대한 문제를 드러냈다는 평가다. 지역 주민들은 “윤 군수가 투명한 소통과 공정한 피해 복구를 통해 훼손된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재난 상황에서 공직자의 윤리적 행동 지침과 책임을 명확히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해 향후 유사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