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늑장 ‘재난 지원금’ 접수…주민들 ‘군정 불신’

임시주택 설치 지연에도 이재민 불만 고조 3000억 원 피해 복구계획 발표에 “공염불”

2025-04-17     김영삼 기자
17일 김광열 영덕군수가 긴급 언론 브리핑을 통해 산불 피해 복구 및 이재민 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영덕군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 영덕군의 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이재민 지원이 인근 지자체에 비해 지연되면서 군정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이 고조되고 있다.

17일 영덕군은 경북도와 도의회가 결정한 ‘도민 1인당 30만 원의 긴급생활지원금’ 접수를 시작했다. 이는 인근 시군에 비해 현저히 늦은 대응으로, 의성군의 경우 17일 현재 전 군민의 80% 이상에게 지원금을 지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선거를 앞둔 포퓰리즘’이라는 비난을 무릎쓰고 도민들을 위한 결단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경북도의회가 동의할 당시 ‘지원금은 직접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만 지급해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했었지만 신속 지원을 위해 ‘전체 주민 지급’이 강행됐다. 

영덕군의 이재민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준비 역시 행정적 절차에 발목이 잡혀 지연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한 이재민은 “상수도 인입 등 불합리한 행정 처리로 이재민 임시주택 설치가 지연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17일 긴급 언론 브리핑을 통해 총 피해 규모가 3170억 원에 달하며, 현재 780명의 주민이 임시 거주시설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임시주택 916동을 5월 말까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김영덕군의 이러한 공식 입장에도 불구하고, 영덕군의 대응은 여전히 주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평가다. 주민들은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영덕군은 항상 다른 시군보다 늦다”며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인근 시군들이 임시주택 완료 계획을 4월 말로 잡고 추진하는 것과 비교해 영덕군의 대응이 안일하다는 지적이다. 향후 지역 사회의 안정과 회복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적극적인 행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이번 산불은 지난달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최초 발화한 후 25일 강풍을 타고 영덕군 방면으로 급격히 확산했다. 주민 10명이 사망하고 56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주택 1623세대, 선박 35척, 농작물 176ha, 공장과 점포 400여 동이 파손되는 등 경북 5개 지자체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