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창원대-도립대 통합 절차에 본격 대응
기획행정위원회, “통합 이후 자금 지원 명문화해야” 도의회와 사전 소통 부족 지적
[부산ㆍ경남 취재본부 / 신용소 기자] 경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가 창원대와 도립 거창대·남해대의 통합 절차와 관련해 본격적인 현안 점검에 나섰다.
기획행정위원회는 7일 교육청년국과 간담회를 열고, 창원대와 양 도립대의 통합 및 최근 구성된 경남지역혁신대학지원위원회에 대해 논의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창원대가 양 도립대와의 통합을 신청하면서 시작된 절차에 따른 대응이다.
위원들은 통합대학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향후 5년간 도에서 지원하는 지방비(지난해 기준 도립거창대 104억 원, 도립남해대 106억 원)가 종료된 이후에도 창원대가 거창대와 남해대에 지속적으로 자금을 지원할 방안을 명문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치환 의원(국민의힘·비례)은 “도에서 내놓은 자료는 희망사항일 뿐, 창원대의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며 “향후 5년간 도가 매년 200억 원을 지원하지만, 통합 6년 차부터는 창원대가 자금을 어떻게 마련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인종 의원(국민의힘·밀양2)도 “과거 국립밀양대와 부산대의 통합 사례처럼 지역에 실질적인 이득이 없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며, “양 도립대가 통합 이후에도 연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명확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위원들은 경남지역혁신대학지원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도의회와의 사전 소통이 부족했다며 집행부를 강하게 질타했다.
조영제 의원(국민의힘·함안1)은 “통합 신청과 위원회 구성 사실을 이제야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다”며, “중요한 사안은 상임위원회와 사전에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상현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민선 8기 들어서 도의회와의 소통 부재가 계속 지적되고 있다”며, “도에서 위원회를 구성하고 나서 조례 통과를 요청하는 경우가 잦다”고 비판했다.
김일수 의원(국민의힘·거창2)은 “위원회 구성 과정이 거꾸로 진행되고 있다”며, “위원으로 선정된 인사들이 바쁜 일정으로 회의 참석이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를 표했다.
백태현 위원장(국민의힘·창원2)은 “도정의 중요한 사안이 무산되거나 잘못 진행되면 집행부뿐만 아니라 의회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며, “절차가 시작된 만큼 앞으로는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윤인국 교육청년국장은 “통합 계획 심사와 인가, 이행협약 과정에서 도의회가 우려하는 부분을 최대한 해소하겠다”며, “위원회 구성은 법 개정 전이지만, 교육부 지침에 따라 훈령에 맞춰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기획행정위원회는 오는 9일 제2차 기획행정위원회를 열고 교육청년국, 도립거창대학, 도립남해대학의 업무보고를 받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