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 친환경에너지타운, 주민들 간 갈등···‘사업 좌초’ 위기

출자금 납부한 58명 중 8명만 출자 명부 등록 극소수 주민 일부만 ‘운영권 특혜’ 우려

2024-06-04     김진성 기자
삼산마을 친환경에너지타운 내 주민 소득 향상을 위해 설치한 비닐하우스 .사진/김진성 기자

[대구경북본부/김진성 기자] 경북 성주군(군수 이병환)이 추진 중인 삼산마을 친환경에너지타운 내 주민 소득 향상을 위한 농업용 시설 운영권을 두고 주민들 간의 갈등으로 사업이 좌초할 위기에 처해 있다.

4일 성주군에 따르면 이 사업은 기피·혐오시설에 청정기술을 적용, 마을 자체적으로 친환경에너지를 생산·판매하도록 해 주민생활환경 개선과 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새로운 농촌개발 모델이다.

이 사업은 연 320일간 24시간 체제로 생활폐기물과 부직포 등을 소각하는 자원순환센터에서 시간당 1250 Mcal/h의 열을 생산해 농업용 시설에 온수를 공급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59억이다.

성주군은 이 사업의 운영권을 쓰레기소각장, 가축분뇨처리장 등 혐오시설들이 밀집되어 있는 성주읍 삼산 1·2리 주민들이 설립한 협동조합에 위탁할 계획이다.

그러나 A 조합장(삼산1리 이장)이 주도한 협동조합설립 과정에서 출자금을 납부한 주민들 58명(삼산1리 31명, 2리 27명) 중 8명만 출자 명부에 등록돼 있다.

본지 기자가 협동조합 설립과정 확인을 위해 A 조합장에게 수 차례 전화를 시도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다.

앞서 주민들은 성주군에 “조합장이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본인 마음대로 운영하는 조합을 해산해야 한다”며 “그것이 관철될 때까지 사업을 중지해야 한다”라고 요청했다.

삼산2리 이장은 “희망하는 마을 주민 전체를 조합원으로 등재해 사업에 투명성을 갖춰야 한다”며 “극소수 주민만 특혜를 누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성주군 관계자는 “주민 의견을 반영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사업을 추진한 것”이라며 “주민들의 갈등과 이해관계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