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뽀] 컬리, 소비자‧판매자 첫 오프라인 소통 ‘興’하는 중
소비자, “쇼핑 패턴 확장 계기”‧판매자, “소비자 직 피드백 소중”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컬리가 론칭 8년 만에 오프라인에서 행사를 열었다. 입점사와 소비자간 소통을 위해 마련한 행사다. 소비자는 본인의 쇼핑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로 판매자는 소비자와 접점 확장을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행사가 있기 전 유료행사이며 컬리앱을 통해서 티켓을 구매할 수 있고 티켓 가격이 2만4000 원(리워드 쿠폰 1만 원 제공)에 대한 논란은 사그라들었다. 오히려 행사에서 더 많은 상품과 경험을 얻어간다는 반응이 대세를 이뤘다. 다만 이 경험이 매출 증가 및 영업이익 확대로 이어질지 여부는 미지수다.
6일 컬리는 서울 중구 소재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컬리 푸드 페스타를 열었다. 컬리 85개 대표 파트너사, 130개 F&B 브랜드들이 참여했다. 이 행사는 오는 9일까지 열린다.
모든 브랜드들이 문전성시를 이루는 것은 아니었지만 소비자들은 일부 브랜드 앞에서는 많은 사람이 줄을 섰다. 시식이나 이벤트, 할인행사 등에 더 반응했다. 일부 제품은 시식도 진행했지만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브랜드도 있었다. 향후 시식 등을 위해 길게 늘어선 줄들이 타 브랜드들 노출을 막아 분쟁 소지가 있어보였지만 첫날이어서 그런지 특별한 소요는 발생하지 않았다.
푸드 페스타에서 만난 소비자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임승택(33세, 관악구 거주)씨는 “컬리를 오래 이용해왔는데 오프라인 행사가 있다고해서 참여했고 그동안 소비패턴 밖의 양질의 제품을 만나 새로운 쇼핑경험의 가능성을 넓혔고 좋은 브랜드들을 알게 돼서 유의미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손 모(30대 중반, 성동구 거주) 씨는 “온라인에서는 구매를 하더라도 이미지와 텍스트에 의존해 유추했다면 오늘 오프라인 행사를 통해 다양한 시식 등으로 제품에 대한 경험이 확대되면서 향후 쇼핑을 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두 명의 소비자 모두 유료입장에 대해서는 입을 모아 “입장가격보다 더 많은 것을 받을 수 있어서 불만은 없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만난 판매자들은 컬리 이용자들의 소비 취향과 브랜드가 만나 가격이나 품질면에서 서로 알맞게 들어맞아 실질적 성장에 도움이 됐다는 반응이다.
스페셜티 커피 판매업체 모모스커피 관계자는 “부산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었지만 수도권 소비자들과 접점이 적었지만 컬리 입점으로 더 많은 소비자에게 스페셜티 커피를 제공할 수 있었다”라며 “모모스커피가 추구하는 스페셜티와 컬리 소비자의 가치소비가 맞아떨어져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함께 가꿔나갈 수 있게 돼 소비자, 컬리, 모모스커피 모두에게 유의미한 관계가 발생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디 바르베로를 수입하는 베스트엠엔피 관계자는 “컬리 입점후 없어서 못 팔 정도이며 수입한 거의 모든 물량을 컬리에서 소화하고 있다"라며 "컬리를 통해 성장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판매업체 관계자는 “일단 우리 부스를 찾는 소비자가 현재는 많지 않았지만 한 가지 좋았던 점은 실체를 확인하지 못했던 소비자를 직접 만나 현장에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던 점은 향후 제품 개발에도 유용하게 쓰여질 경험”이라고 말했다.
컬리의 주요 이용자는 3040 직장여성인 점을 감안하면 평일 낮의 컬리 푸드 페스타 참여 인원 대비 주말에 더 많아질 가능성이 있어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