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트 붕괴 사고 보험금 지급 불가·직원에 책임 떠넘기기·공시 부풀리기 ‘의혹’까지

▲ 동부화재는 지난 2월 17일 발생한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붕괴사고 사망자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 ⓒ뉴시스
동부그룹이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잇따른 구설수로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며 곤욕을 치르고 있다.

동부그룹의 핵심 계열사 중 하나인 동부화재는 지난 14일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고에 대한 보험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

부산외대에 따르면 동부화재는 보험계약자인 부산외대가 리조트 붕괴 사고에 대한 과실이 없는 데다 학교 관계자가 형사처벌을 받은 사실이 없기 때문에 보험금 지급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가족들이 법률상 손해액 이상의 배상금을 지급받았기 때문에 회사로서는 보험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부산외대는 보험사를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동부화재 측은 유가족들이 이미 코오롱으로부터 5억9000만 원을 받았기 때문에 법률적으로 중복 보상은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누리꾼들은 “코오롱 보상금을 마치 자기 돈 준 것처럼 생색을...보험들 이유가 없어졌네”, “동부화재 설명 들어보면 나름의 타당성을 갖춘 것 같긴 한데 보험사들 배 째라는 진짜 특기네. 보험 같은 건 들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함”, “동부화재라고? 알았어. 불매운동이라도 해주마” 등 동부화재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한편 동부화재는 지난해 고객들에게 가장 많은 소송을 제기한 손해보험사로 나타났다.

15일 손해보험협회 공시자료에 따르면 동부화재는 고객을 대상으로 분쟁조정 신청 전 고객을 제기한 소가 45건, 분쟁조정 신청 후 제기한 소가 2건으로 총 47건으로 가장 많았다. 경쟁사인 삼성화재가 17건, 현대해상 16건에 비해 월등히 많은 수다.

▲ 동부화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기부금 금액과 자사 홈페이지에 게재한 경영공시자료의 기부금 금액이 서로 달라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 다른 계정을 기부금 계정에 포함시킨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동부화재

동부화재, 기부금 부풀리기로 기업 이미지 제고?

동부화재는 기부금을 부풀렸다는 의혹 또한 받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부화재는 지난해 기부금은 37억3700만 원이다.

하지만 동부화재 홈페이지에 게시된 ‘FY2013 동부화재 현황(경영통일공시)’에 따르면 회사가 지난해 사회공헌활동으로 ▲지역사회·공익 분야 8억7358만 원 ▲문화·예술·스포츠 분야 3300만 원 ▲학술·교육 분야 2억570만 원 ▲환경보호 분야 1억3060만 원 ▲공동사회공헌 분야 1억4897만 원 ▲서민금융 분야 1억4841만 원 등 총 15억4027만 원을 사용했다.

무려 20억 원 이상이 차이가 난다.

업계에서는 동부화재가 기부금을 많이 내는 것처럼 보이도록 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려고 한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상생을 추고하면서도 이미지 제고의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동부화재가 다른 계정 항목을 기부금에 더해 공시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사로잡혔다.

▲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 ⓒ동부

동부건설 유상증자에 회장은 빠지고, 직원들은 할당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은 최근 실시한 동부건설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사실이 전해지며 14일 동부건설 주가는 하락했다.

앞서 김 회장은 자택까지 내놓으며 그룹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번 동부건설 유상증자에 애초부터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는데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한편 동부그룹이 이번 유상증자를 진행하면서 직원들에게 유상증자에 참여할 것을 종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아주경제> 등 여러 언론 매체에 따르면 동부익스프레스 임원 A씨가 전달 11일 직원 50여 명씩 3팀으로 나눠 상담을 실시, 동부건설 유상증자 참여를 독려했다.

동부익스프레스 직원들은 이미 참여한 증자도 손해를 보고 있는데 추가 증자도 참여할 것을 독려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는 것.

회사 측은 아예 직급별로 액수를 할당했다. 부장 1500만 원, 대리 1200만 원, 사원 1000만 원이다.

경영진의 잘못으로 유동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직원들은 애꿎게 손해를 감수하면서 우리사주를 보유하게 된 것이다.

재계 일각에서는 동부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나서고 있지만 실리를 챙기기 위해 계열사 패키지 매각에만 몰두하는 것 아니냐며 자칫 매각이 지연될 경우 동부그룹이 지금보다 더 큰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시사포커스 / 전수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