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SUV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다. 그 중 이른바 보조범퍼를 부착한 운전자도 많다. 캥거루 범퍼라고도 하고, 범퍼가드라고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보조범퍼는 범퍼라 할 수가 없다. 충격 흡수 기능이 없으니 말이다. 그래서 오늘은 범퍼가드의 유래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보조범퍼는 엘크테스트와 관계가 있다. 여기서 엘크는 말코손바닥사슴인데, 통상 뿔이 큰 사슴을 가르킨다. 유럽에선 야간에 이 사슴과 부딪치는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 그래서 사슴이 나타났을 때 급하게 피하게 되고, 이 상황을 가정해서 차선을 급하게 바꾸는 시험이 바로 엘크테스트다. 미국에선 레인 체인지라고 한다. 순간 차선을 이탈했다가 다시 차선으로 되돌아오는 시험은 W레인체인지라고 한다. 그래서 동물과의 충돌에 대비해 차체를 보호하는 게 바로 보조범퍼의 시작이다.

그럼 보조범퍼를 다들 캥거루 범퍼라고도 하는데, 왜 일까? 그건 호주에서 생긴 용어이기 때문이다. 호주는 캥거루가 많은데, 간혹 야간에 자동차 불빛을 보고 캥거루가 뛰어들어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역시 동물과의 충돌에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SUV차량에 설치되기 시작한 게 캥거루 범퍼다. 결룰 엘크나 캥거루나 모두 동물이고, 보조범퍼는 이들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사람 보호 장치다. 그렇다면 국내에서는 별로 필요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도로에서 그렇게 큰 동물이 출현하지 않는다. 간혹 고양이니 고라니 정도가 자동차와 부딪친다. 따라서 보조범퍼, 즉 캥거루범퍼가 필요 없다. 하지만 최근에는 미관상 자동차를 더 돋보이게 하기 위해 다양한 보조범퍼가 등장하고 있는데, 문제는 범퍼는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돼 있지만 보조범퍼는 대부분 철제로 만들어져 충격 흡수가 되지 않고, 보행자 또는 다른 자동차와의 충돌 때 흉기로 변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철제 범퍼보호대가 달린 자동차에 의한 보행자 사고가 났을 경우의 상해지수는 범퍼보호대가 없는 자동차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간단한 부상으로 그칠 수 있는 사고가 부적절한 캥거루 범퍼로 인해 피해자는 영구장애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최근의 정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레저용 자동차의 41%인 약 60만대 이상이 캥거루 범퍼, 또는 그와 유사한 보조범퍼를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밀히 보자면 불법이다.

그래서, 요즘에는 보조범퍼의 재질을 바꾸려는 노력이 있다. 통상 범퍼의 재료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hilen), 폴리에틸렌(Poly-Ethilen) 등의 재활용이 가능한 연질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이들 재료는 자체 탄성으로 충격을 흡수하거나 일정 세기 이상의 충격에서는 변형되거나 구부러지도록 돼 있다. 그래서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키게 되는데, 따라서 보조범퍼도 범퍼와 동일한 재질로 바꾸는 사례가 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서 여전히 철제 재질이 주종을 이루는 중이다.

그런데 보조범퍼 외에도 고급자동차를 보면 엠블렘도 불쑥 튀어나와 있고 지프형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런 것들에게도 문제가 있다.

가령 어른은 괜찮은데, 어린 아이와 자동차가 부딪치면 아이가 넘어지면서 머리 부분이 엠블렘에 찔려 중상을 입을 수 있다. 그래서 외국은 자동차회사 스스로 엠블렘을 세우지 않고, 자동차에 평평하게 부착하는 형태로 변경했다. 물론, 일부 차종은 여전히 엠블램이 있지만 재질을 구부러지는 것으로 바꿔 보행자 부상을 최소화했다. 하지만 국내에선 고급자동차일수록 엠블렘이 있어야 한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강해 여전히 사용된다. 소비자들이 안전에 대한 의식을 고취하면 할수록 자동차의 사소한 안전 부분도 강화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