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평균연령 2010년 40.2세, 2020년 43.9세 추정

13일 경총이 분석·발표한 ‘기업 내 근로자 고령화 현황과 정책과제’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연령은 1980년에 28.8세였으나 2004년에는 8.7세 증가한 37.5세를 기록해 근로자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연령구조변화가 국민전체의 고령화 추세와 매우 흡사하게 진행되면서 현재와 같은 속도로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지속 증가할 경우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0년 40.2세, 2020년에는 43.9세가 될 것으로 경총은 추정했다. 고령화 추세로 인해 우리나라 핵심근로자 계층은 20대 이하에서 40대 이상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경총은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의 경우 20대 이하 근로자 비중이 60.6%였으나 2004년에는 27.5%로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반면 40대 이상 비중은 1980년 15.7%에서 2004년 39.5%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 근로자 분포가 완전히 달라졌다. 기업 규모별로 근로자 평균연령을 봤을 때, 중소기업(300인 미만)은 1980년 29.8세에서 2004년 37.8세로 8세 증가했으나, 대기업은 1980년 27.5세에서 2004년 36.5세로 9세 증가해,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고령화 진행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종별 평균연령 추이를 보면, 1980년 기준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27.1세로 사무직 28.8세, 판매·서비스직 35.7세에 비해 1~9세정도 젊었다. 그러나 지난해 생산직 평균연령은 41.0세로 1980년에 비해 무려 13.9세 증가했으며 사무직 32.8세, 판매·서비스직 36.1세에 비해서도 5~8세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생산직 근로자의 고령화 추세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근로자 고령화 원인으로 △임금·고용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부족 △경력직 위주의 채용관행 확산 △고학력화로 인한 노동시장 진입연령의 증가 등을 꼽았다. 근로자 고령화 부작용으로는 △근로자 요구 증대에 따른 기업 부담 증가 △기술습득능력 부진과 생산성 저하 △청년계층의 노동시장 진입장애와 노동시장 양극화 심화 △인사적체 심화로 조직구조 왜곡 등을 지적했다. 고령화 문제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로 경총은 △직무급 또는 성과급 임금체계 도입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교육체계 확립 △인위적 정년연장보다는 고령자 수요기반 확충 △전직지원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 경총 관계자는 “전체인구의 고령화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인 관심도가 매우 높았으나 기업 내 근로자의 고령화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이 사실”이라며, “향후 노사정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이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함께 범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