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갚을 능력은 점점 떨어져..,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면서 가계부채도 3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부채 상환능력은 최저수순으로 떨어져 금융계에 비상등이 켜지고 있다. 이는 시중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가계부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ㆍ4분기 자금순환동향(잠정)’에 따르면 6월말 현재 가계부채 잔액은 532조6,000억원으로 3월말보다 20조9,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우리나라 가구 당 부채 규모가 3,241만원에서 3,373만원으로 무려 132만원인 셈. 이는 신용카드 대란이 빚어졌던 2002년 3ㆍ4분기에 27조원의 가계부채 증가를 기록한 이후 11분기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부동산가격 폭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부채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가계의 부채 상환능력을 보여주는 가계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의 비율은 2.03배로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금융자산 증가속도보다 금융부채의 증가속도가 더 빠르게 증가해 부채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상태다. 시중금리가 지속 상승할 경우 가계 부담도 그만큼 가중될 수밖에 없다. 한은은 단기금리가 0.25%포인트 상승할 경우 가계의 이자부담은 연간 1조3,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 관계자는 “감독당국의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8월 이후 효과를 내고 있는 만큼 가계의 부채상환 부담이 우려할만한 상황에 빠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8ㆍ31대책 여파로 부동산가격이 급락하면 자칫 가계 발 불황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부채 상환을 위해 부동산을 앞 다퉈 매각할 경우 부동산가격 하락을 더욱 부추길 수 있고, 금융자산 매물이 쏟아지면서 금융시장 혼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