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에 대해 조직적인 관리·대응 조직 있다

삼성의 무노조 경영의 실체가 드러났다. 삼성의 ‘무노조 경영’이 이제는 신화처럼 돼버렸지만, 노동조합 하나 없는 이유가 이제야 설명이 된다. 이는 삼성 그룹 내부에서 노동조합에 대해 조직적인 관리와 대응이 있었다는 것에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밝혀낸 12일자 시사저널은 삼성구조조정본부 산하에 설치된 ‘지역대책위원회’(지대위)의 실체를 보도했다. 시사저널의 이러한 보도로 삼성의 무노조 경영실체로 향후 노동계와 정치권에 큰 논란을 야기시킬 것으로 보여 삼성의 행보가 주목된다. ◆ “삼성노무관리의 핵심, 지역대책위원회” 시사저널은 “극비조직 ‘지대위’노조 설립 원천 봉쇄”라는 기사를 통해 “삼성 그룹의 ‘무노조 경영’ 막후에는 ‘지역대책위원회’라는 비밀조직이 존재했다”며 “이러한 지대위는 삼성의 구조조정본부 인사팀 산하에 있는 삼성 노무관리의 핵”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시사저널과 인터뷰한 삼성의 한 관계자는 "삼성 노무관리의 핵심은 구조본 인사팀에 있는 지대위다. 삼성 사업장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5~8개 지대위가 있다"며 "핵심은 삼성전자·삼성SDI·삼성SDS의 사업장이 있는 수원 지대위"라고 주장했다. 시사저널에 따르면, 이러한 지대위는 상시체제로 가동되며 지역마다 별도 사무실을 갖추고 전방위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지대위는 삼성 소속이지만 삼성본사로 출근하지 않고 외부에서 각 지역의 노조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일이라고 보도했다. 더욱이 지대위는 경찰·시청·노동상담소 등과 유대관계를 맺는 업무도 맡고 있다고 덧붙였다. ◆ ‘선수치기’ 등 ‘유령노조’ 설립수법으로 노조설립 방해 이같은 보도는 실제로 사측의 '선수치기'와 노조 설립을 시도한 노동자의 해외파견 유도 등 '회유와 설득'이 있었다는 것에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선수치기'란 삼성 노동자가 노조를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파악되면 노동부에 노조설립 먼저 신고 해 노조 설립 움직임을 무력화 시키는 것이다. 이런 전략은 현행 노동법의 '복수 노조' 금지조항을 악용한 것으로 평가돼 왔다. 그러나 삼성에는 ‘에스원노동조합’과 ‘호텔신라노동조합’이 설립돼 있다. 이 두 노조는 조합원이 3∼4명에 불과하지만 각각 2000년 5월과 2003년 4월 서울 강남구청과 중구청에서 노조설립신고필증을 받았다. 삼성 안에 존재하는 한마음협의회·노동자협의회·노사협의회 등 고충처리기구(노사협의회)와 달리 정식 노동조합이다. 물론 삼성의 일부 노동자들이 노조 설립을 시도하자 이에 맞서 회사측이 한발 먼저 급조해 설립신고를 마친 ‘노조’다. 일단 이 두 노조는 서류상만 존재하는 노조이지만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가 금지되어 있어 '유령노조‘인 셈으로 이로 인해 실제 노동조합을 설립에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선수치기’와 ‘유령노조’로 노조설립을 방해하는 수법 이외에도 그룹 차원의 회유·협박·매수 그리고 치밀한 감시가 그림자처럼 따라붙는다. 지난 수십년간 삼성에서 노조 설립은 유령 노조 때문에 단 몇 시간 차이로 무산되는 불가사의한 일이 벌어지곤 했다. 무노조 신화의 뒤편에는 007 작전처럼 펼쳐지는 ‘면담’을 빙자한 감시와 격리, 집요한 회유가 있었고, 당사자들은 끝내 굴복해 노조 설립 포기각서를 써야 했다. 처음에는 해고도 감수하겠다고 결의해도 온갖 유혹과 압력이 동원되면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포기하게 된다. 막강한 ‘돈’과 ‘조직’의 힘 앞에서 무노조 삼성은 뚫기 어려운 장벽이었다. 시사저널과 인터뷰를 한 삼성 해고 노동자인 김갑수씨는 "격리, 회유와 협박, 해외파견 또는 해고 순으로 탄압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노조 설립 움직임을 파악하면 삼성 관리자 3~4명이 따라 붙으며 동료들로부터 격리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일관성을 갖는 삼성그룹의 노무관리와 노조무산 전략은 시사저널이 밝혀낸 '지대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시사절은 삼성그룹측이 '지대위' 존재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