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사고에 소극적인 보건당국의 무사 안일주의가 피해키워

국내에서 살인진드기에 대한 경고가 처음 나왔던 것은 이달 2일이었으나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살인진드기'에 대한 늑장대응 및 소극적 대처로 피해를 계속 키우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올해 일본에서 7명의 사망자를 낸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가 한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그로부터 19일만인 21일 살인진드기로 인한 첫번째 사망자(63·강원)가, 이틀 뒤인 23일에는 두번째 사망자 강모씨(73·제주 서귀포시 표선면)가 확인됐다.

강원도 환자는 지난해 8월 숨진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였고, 23일 확인된 제주 환자는 16일 사망후 일주일만에 살인진드기 감염이 확인됐다.

강원도 환자의 경우 발병 당시 벌레 물린 자국을 보고 가족들이 정밀 검사를 요구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역학조사도 환자가 숨진 지 7개월이 지난 지난 3월에서야 뒤늦게 바이러스 검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 환자는 발병 후 쯔쯔가무시증 의심으로 동네병원에 항생제 치료를 받다 호전되지 않자 지난 8일 제주대학교병원에 입원해 8일만에 패혈성쇼크로 숨졌다. 의료진이 살인진드기에 대한 인식이 없어 치료시기를 놓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가 살인진드기 바이러스 증상 의심 사례를 처음 발표한 것은 지난 18일.

당시 사망 사례 2건을 포함해 감염 유사 증상 및 의심 사례 10건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검사중'이라고 발표 후 사흘만인 21일과 닷새만인 23일 사망사례 2건이 모두 확진 환자로 확인됐다.

3월에 바이러스 검사에 착수한 강원 환자는 두달만에, 제주 환자는 숨진지 일주일만에 감염이 확진됐다.

강원 환자의 경우 일주일이면 확인될 감염 여부를 두달씩이나 조사하면서 감염 사망 사실 발표를 은폐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살인진드기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환자 발견 당시 초기 대응과 중환자 치료 대응이 중요하다.

보건당국이 살인진드기에 대한 주의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했다면, 제주 환자의 경우 발병 당시 쯔쯔가무시증 의심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지 않았고 적극적인 초기 대응으로 사망까지 가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살인진드기 사망 사실이 확인된 후에는 환자와 의료진의 주의 의식이 높아지며 고열과 구토, 혈소판 감소 증상등을 보인 SFTS 의심 환자에 대한 병원의 신고가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25일에는 광주 강모씨(61·여·화순 전남대병원 입원)가, 24일에는 부산 이모씨(69·양산부산대병원·22일 사망)가 의심사례로 신고됐다.

앞서 23일 충남 홍성의 최모씨(77·여·서울 구로고대병원)가, 22일에는 충북 충주시 단월동 거주 60대 여성이 의심 환자로 신고됐다.

그러나 이들 환자는 모두 광주시, 부산시, 충남도 등 지자체를 통해 발표됐을 뿐이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여전히 공식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지난 21일 복지부 관계자는 STFS 첫 사망 환자 관련 브리핑을 통해 "바이러스를 유발하는 작은소참진드기는 국내에 30년전부터 있었고 과거에도 이 진드기 방역이 관련 부처의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었다"며 "이번 환자는 지난해 발생했는데 이전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이 SFTS의 발생가능성을 알고도 늑장대응을 했다는 것을 스스로 시인한 셈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