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술 개발에 있어서 핵심 키워드는 안전과 편리. 그 중 자동차 안전은 1950년 안전띠 장착을 시작으로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왔다.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생명보호 및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수동안전시스템(passive Safety System)이 속속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사고 발생시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사고 자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은 아니다.

실제 자동차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면 약 80%는 전방부주의와 안전 미 확인 등 이른바 뒤 늦은 운전자의 상황 인지에서 일어난다. 결국, 사고의 대부분은 부주의에서 발생하는 셈이다.그래서 등장한 안전개념이 능동안전시스템(Active Safety System)이다. 운전자가 자칫 놓칠 수 있는 순간의 위험을 줄여주는 게 핵심이다. 대표적인 것이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다. 운전자가 부주의 등 기타 요인에 의해 전방 주시 태만, 장애물 미확인, 보행자 출현으로 감속이 요구되는 상황에 적절한 감속을 하지 못해 발생한 사고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능동안전 시스템 중 추돌 상황에서 제동을 통해 추돌 속도를 감소시켜 그 피해를 경감하는 사전 추돌 안전시스템 (PCS, Pre-Crash Safety System)과 전방 자동차 충돌 위험 경보 시스템(FVCWS, Forward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그리고, 최근에는 저속상황에서 사고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AEBS,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이 개발 중이다.

최근 토요타가밀리파 레이더를 이용한 PCS를 개발해 주목 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추돌 위험이 감지되면 먼저 운전자에게 소리나 불빛 등으로 알려 브레이크 페달을 밟도록 경고하며 이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제동력을 강하게 지원함으로써 최대 시속 60Km까지 감속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미처 밟지 못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시속 15~30Km의 속도를 줄여준다.

이런 시스템적인 안전 기술의 보급은분명 사고율을 낮춘다. 하지만, 문제는스마트폰,DMB와 같은 디지털 장치들의 시청이다. 영상 기기들이 대중화되면서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태만하게 만들 요소가 늘어난다는 점이다. 또한, 많은 디지털 기기들이대시보드 상단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 한 쪽에선 운전자 부주의를 걱정하면서도 또 다른 곳에선 운전자 부주의를 부추기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현상에 대한 기술적 대답이 스마트 카.다양한 센서 신호를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산출해내는 통합인지가자동차 산업의 핵심요소다.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선 소프트웨어, 통신 등 다양한 결합이 요구된다. 또한, 기술 개발 지원정책, 성능평가를 위한 고용 테스트베드 및 신뢰성 사이트 구축, 차량 IT융합 기술 교육 및 연구 클러스터 설립 등 자동차 업계와 IT업계간 공동개발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