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 연료효율이 이슈로 떠올랐다. 얼마 전, 미국에서 현대기아차를 상대로 7 7500만 달러( 8435억원)규모의 집단 소송이 제기됐다. 미국 환경 보호청(EPA)이 현대기아 차의 여러 차종이 실제효율보다 공인 효율을 더 높게 발표했다는 소비자 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에너지 관리공단이 공인 시험기관 4곳에 의뢰한 연비 재검증 결과 검증대상 25개 차종중 17개 차종의 68%가 표기된 연비보다 적게 나왔다. 그 중 두 차종은 4% 가까이 차이가 났다.

이런 연비 측정의 논란은 언제나 저항계수값가 문제다. 연료효율은 도로 상태와 공차 중량, 온도 등 다양한 조건 값, 저항계수에 좌우된다. 이번에 논란이 된 주행 저항 측정은 어떤 업체든 미국공업협회의 규정에 따르도록 돼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그에 따른 수준의 표면에서 테스트한다.’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에서 아스팔트가 미국의 아스팔트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 주행 저항 측정을 순수 아스팔트에서 해온 것을 지적한 것이다.

기존 국내 완성차들은 주행저항 측정을 남양 연구소 주행 시험시설 아스팔트에서 행해왔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아스팔트는 국내와 달리 시멘트 도로로 구름저항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3% 정도 연비가 하락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연료효율이 문제시 되는 것은 비싼 기름값 때문이다. 고유가 시대에 자동차를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의 하나가 바로 연료효율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너지관리공단에서는 자동차의 연료효율을 측정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하고 있으며, 이를 공인연비라고 한다. 또한 공인연비는 자동차 판매나 홍보에는 반드시 표시하게 되어 있다.

사실, 좋은 엔진, 가벼운 차체, 효율적인 변속기를 가지고 있다면 당연히 연비가 높아질 것이고 그만큼 차량 값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급출발, 급제동 금지, 트렁크를 비우고 기름도 필요량만 주유, 과속보단 정속주행, 타이어 공기압 체크, 고속주행 시 창문 닫기, 정지신호 대기 중 기어를 N(중립)에 놓기등 몇 가지 점검과 운전습관을 개선만 하더라도 연비를 최대 30%까지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런 운전형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 바로 에코드라이빙 시스템이다.

에코드라이빙 시스템이란 가장 경제적인 연비로 주행가능한 운전영역을 운전자에게 울려주어 운전자의 운전형태를 정속주행으로 유도하여 경제운전(실주행 연비개선)을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최근 완성차회사들은 차량내 이를 장착하여 클러스터내 램프의 점등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그 밖에 중소기업들은 자동차 내에 OBD(On Board Diagnostics)와 같은 커넥터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주행, 엔진회전수(RPM), 자가진단 등을 운전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내비게이션에서부터 스마트 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연동하여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운전자는 대부분 급하고 거칠다. 그러다 보니 연비가 아무리 좋은 차라도 그 연비가 나빠질 수 밖에 없다. 최소한 운전습관만이라도 개선하면 연비 향상 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대다수의 운전자들이다. 이런 운전형태를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친환경/경제 운전왕 선발대회와 같은 홍보나 캠페인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