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안전공단의 ‘2011년 교통사고 발생현황 및 분석결과’에 따르면 작년 한해 발생한 교통사고는 221,711건으로 5,229명이 사망하고 341,391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보행자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39.1%에 이르고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완성차 기업들은 자동차 안전 개념을 차에서 보행자보호로 진화했다. 보쉬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첨단 안전 차량(ASV: Advanced Safety Vehicle)에 대해 자동차가 스스로 주변환경을 인식하고 해석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 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자동차가 기계에서 전장장비화 되어 가는데 20여년이 걸렸다. 모든 사고의 약 80%가 운전자 실수에 기인한다는 사실 때문에 ADAS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지금의 운전자들은 운전 중 신경 써야 할 부분이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운전에만 집중하기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자동차 전장이 발전하면서 자동차는 보다 안전해지고 있으며, 이미 자동차 스스로가 상황을 인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해 주는 자동차도 선보이고 있다.

ADAS의 기능에 따라 스스로 안전을 위해 기능을 동작하고 제어하는 부분인 ‘능동적 안전 시스템(Active Safety)’과 운전자가 편안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편의성 시스템 (Comfort Systems)’으로 나뉠 수 있다.

능동적 안전 시스템으로는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FCW: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자동비상 제동 시스템(AEBS: 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 적응 순항 제어 시스템(ACC: Adaptive Cruise Control)이 있고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이 있으며 사각지대 감시 시스템(BSD: Blind Spot Detection)과 후방 충돌 경고 시스템(RCW: Rear-end Collision Warning Systems) 등으로 구성된다.

편의성 시스템으로는 주차보조 시스템(Park Assist), 시야 확보 시스템(Surround View), 도로 표지 인지 시스템(Road Sign Recognition), 친환경 운전 시스템(Eco-friendly driving), 어댑티브 헤드라이트(Adaptive Headlights), 제스처 인지 시스템(Gesture Recognition)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사실상 이런 분류도 편의상 분류일 뿐이며, 여러 기능이 모여 운전자가 얼마나 편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느냐가 ADAS의 최종 목표이다.

이렇듯, 자동차의 안전 기술 수준은 ADAS를 받아들이는 운전자들의 태도를 어떻게 정의하고 어느 수준까지 운전자를 지원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수준까지 와 있다. 이는 사고로부터 ADAS가 운전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피해를 줄이지만, 일부 운전자들은 이 ADAS의 안전성을 과신한 나머지 그 전보다 과속운전을 하거나 운전에 신경을 덜 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DAS는 주행 중에 발생되는 위험 상황을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자동차 전장 시스템은 인간과 기계 사이의 정보교환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해야 할 것이며,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앞으로 더욱 발전 될 것이다.

또한 무분별한 사용은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을 불러 일으킬 것이고 올바른 확대와 안전도 검증이 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