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술발전으로 자동차는 이제 단순한 기계제품이 아니라 스마트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등과 같은 각종 첨단 장치가 접목되어 자동차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결합된 커넥티드 카(Conneted Car) 또는 스마트카(Smart Car)로 자동차 산업이 새롭게 도약 중이다.

지금까지 자동차는 ‘디자인’으로 표현되는 외모, 연비, 성능, 가격이 선택기준이었고, 거기에 주행 정보와 다양한 즐길 거리가 합쳐진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IVI)가 고려사항으로 떠올랐으며, 최근에는 자동차유무선 통신 기능(CAN, FlexRay, LIN, MOST, LTE, 3G, WIBRO, ZigBee, Bluetooth 등)의 결합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통신(Telecommunication)과 그에 따르는 정보기술이 합쳐진 텔레매틱스(Telematics)가 최첨단 자동차로 부각됐다.

하지만 단순히 이것 모두를 갖췄다고 해서 ‘커넥티드카/스마트카’라고 할 수는 없다. 커넥티드카/스마트카는 IVI와 텔레매틱스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편의성을 위한 전자 전장 장치가 합쳐진 것을 말한다.

이제 자동차는 각종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여러 종류의 센서와 첨단 장치들로 무장하고 있다. 이에 따른 자동차 전자 전장 비중이 2010년 25% 수준에서 2015년 40% 수준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특히, 도요타의 하이브리드카인프리우스는 제조원가의 47%가 이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자동차는 이제 더 이상 기계제품이 아니라 전자기기라고 불러도 될 정도까지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편하고 안전한 주행 정보 제공을 위해 자동차에 3G, 3.5G(LTE) 등 네트워크가 장착되고 있다. Atlas에 의하면 2015년에 약 1억대, 2020년에 북미, 유럽, 아시아의 모든 자동차들이 네트워크를 형성 할 것이다라고 하고, ABI Research는 커넥티드카/스마트카가 2011년 말 4500만대에서 2016년 2억대 이상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런 커넥티드카/스마트카 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짐에 따라 국내외 완성차 기업들도 시장을 점유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BMW는 AT&T,구글과제휴하여 기존 ‘BMW Assist’로 긴급호출 및 안내인(Concierge)서비스, 교통체증 정보와 기상정보, 유가 가격 및 뉴스 검색 서비스와‘BMW Assist, BMW Online, BMW Tracking/BMW TeleServices와 Assist의 기능 모두를 갖춘 차량 커뮤니케이션 플렛폼인커넥티드 드라이브(Connected Drive)를 제공할 예정이다.

포드(Ford)는 MS와 제휴하여 텔레매틱스 플랫폼인 “SYNC”를 통해 자동차의 주행상태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내비게이션이 가능하며, ‘Sync AppLink’를 이용하여 트위터(Twitter)에 올라온 글을 자동차 내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전기자동차에 자체 스마트그리드라는 ‘Hohm’을 제공하고 있다.

도요타는 RIM의 QNX OS 채용하여 안드로이드 폰(Android Phone), 아이폰(iPhone), 윈도우 폰(Windows Phone) 등의 스마트폰과 호환되는 ‘Entune’를 자동차에 연결하여 엔터테인먼트, 네비게이션 등과 음성인식을 통한 정보 검색을 제공하고 있다.

GM은 자회사인 ‘OnStar’를 통해 텔레매시틱스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아이폰, 안드로이드폰과의 호환성을 강화하여음성조작 기능을 이용해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소셜네트워크(SNS)에 글을 올릴 수 있고 IT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라 긴급 재난, 네비게이션, 진단, 보안, 편의성 측면에서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추가 개발, 적용하는 추세이다.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는 도이치텔레콤과 제휴하여 라이오, 전화, DVD, CD, MP3, 네비게이션이 모두 통합된 ‘커맨드’를 제공하고 있으며 ‘mbrace’를 토대로, 안전 제어 및 보안, 교통 안내 및 목적지 Planning, 편의성을 3대 중요 핵심 요소로 설정하고, 자동 충돌 경보, 주행 보조, 도난 차량 정보 알림, 무선 목적지 전송 기능, 기타 A/S 관리 등을 서비스 한다.

이 외에도 미국 대표 IT 기업인 Google 은 Toyota-Prius, Audi-TT 등 다수 차량에 GPS, Lidar, Camera, Radar 등의 첨단 센서를 장착하고, 운전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목적지까지 주행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을 2005년도부터 개발 및 시험 운행을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 완성차 업체인 현대자동차는 자체 텔레매틱스인 ‘Blue Link’를 개발하여, 음성검색 기능을 비롯 Twitter 등과 같은 SNS와 문자메세지, E-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PC를 통해 자동차의 주행상황을 추적하는 것도 가능해 질 전망이다.

기아 자동차는 MS와 제휴하여 ‘UVO’를 통해 음성 인식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다양한 서비스 작동을 제공하며 스마트폰, 아이패드(iPod)등과 자동차간에 뛰어난 연결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SKT와 제휴하여 차량 이상 유무 실시간 진단 및 차량 제어 등의 기능을 갖춘 K5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고 르노삼성은 SKT와 제휴하여 이동통신과 자동차의 융합 서비스로 스마트폰을 통한 차량 제어 기능하는 ‘MIV’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한 ‘Tmap’을 제공하는 ‘P2C’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많고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다양한 서비스와 전장, 앱들을 연동하기 위해선 ‘커넥티드 카/스마트 카’에 맞는 운영체제가 발전해야 한다.

과거 자동차가 단순히 기계적인 측면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시대라면 앞으로는 네트워크 및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와 같은 전장이 경쟁이 될 것이다. 완성차 업체들은 이러한 자동차산업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IT산업을 따로 보지 말고 서로 긴밀히 제휴와 협약을 통해 더욱 더 많은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