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안팎에선 ‘의원직 사퇴’등 강경 목소리 나와

▲ 논문표절의혹으로 국회의원사표까지를 강요받고 있는 문대성 새누리당 국회의원당선자

지난 4월 11일 부산광역시 사하구갑 지역에서 45.1%로 민주통합당 최인호 후보를 누르고 국회의원에 당선된 새누리당 문대성 당선자가 의원직사퇴 압박을 받고 있다. 지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태권도에서 금메달을 국민에게 선사했던 그가 이번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또 한 번 국민들의 마음을 달래줄 정치인생을 기대했다. 하지만 논문표절 의혹이 제기되면서 탈당은 물론 의원직 사퇴 압박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민대 연구윤리위원회가 20일 문 당선자의 논문에 대해 “상당 부분이 표절된 것으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문 당선자는 새누리당을 탈탕했고, 향후 행보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 표절 및 대필 의혹을 받고 있는 문 당선자가 문제의 논문이 “표절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않지 않을 전망이다.

문대성 탈당 파장

문 당선자는 지난 2005년 국민대 박사 과정에서 작성한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2007년), 동아대 교수 임용 이후 동료 교수들과 함께 발표한 논문(2008년) 등을 비롯해 6건의 논문이 표절 시비에 휩싸여 있다. 이에 박사 학위를 수여한 국민대 측은 문제의 논문에 대한 진상조사 작업에 착수했다.
이처럼 문 당선자는 논문표절 의혹이 거세지자 지난 18일 국회에서 탈당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그는 돌연 입장을 바꿨다.
이날 오전 ‘제수 성폭행 미수’ 의혹을 받던 김형태 당선자가 자진 탈당 입장을 밝힌 터라, 홀로 남은 문 당선자도 거취를 정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또 당 핵심관계자들에 따르면, 문 당선자는 전날 당 지도부에 탈당 의사를 밝혔던 것으로 알려진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언론사에서는 이날 오전 ‘문대성 당선자 탈당 기자회견할 것’이란 제목으로 기사를 쏟아내기도 했다. 또 기자들 사이에는 문 당선인이 작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문건도 나돌았다.
해당 문건에는 “모교인 동아대학교와 교수진, 학생들의 명예를 실추시켜 정말 송구하다. 국민대 심사결과와 관계없이 교수직을 사임해 이분들의 명예를 지켜드리고자 한다. 또 오늘 새누리당을 탈당코자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러나 문 당선자가는 “(탈당이 아니라) 표절이 아니라는 회견을 할 예정이었다”며 탈당설을 부인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과 박근혜 대표(비대위원장)가 이미 ‘국민대 (표절심사) 결과를 기다려 보자’는 입장을 밝혔다. 저도 국민대 결과를 기다려 보겠다”고 말했다. “탈당 안 하냐”는 재차 질문에 “박 대표께서 그렇게 이야기를 했는데 제가 반하는 행동을 해서 되겠느냐”며 “(오전 회견문은) ‘탈당을 고려하고 있었다’라고 말씀 드리고 싶다”고 해명했다.

 
버텼지만 결국

그는 또 “논문 중 토씨·오타까지 똑같은 부분이 있다”는 지적에 “운동과 병행하다 보면 그럴 수 있는 부분 아닌가”라고 반박하며 “민주통합당 정세균 의원의 논문과 제 건이 왜 별개인가. 왜 나한테만 표절 의혹을 제기하냐”고 발끈하기도 했다.
문 당선자의 이같은 돌변을 놓고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설이 한때 돌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국회에 도착한 문 당선자를 사무처 당직자가 곧바로 만난 것이 “당의 입장을 전하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당 지도부가 지난 19일 비상대책위 전체회의와 당 윤리위를 열어 문 당선자 처리 문제를 논의키로 결정함에 따라 ‘외부 입김’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따라서 문 당선자가 탈당 결심을 갑자기 바꾼 것은 개인적 ‘돌출행동’에 따른 해프닝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그로서는 탈당이 표절 인정으로 비칠 수 있어 심적 부담이 클 수 있다. 결국 모든 걸 잃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막판에 ‘변심’했을 것으로 보인다.
문 당선자가 탈당 의사를 사실상 번복함에 따라 새누리당의 당선자 부적격 시비는 국민대 측의 최종 결정을 기다린 후에 결론이 나는 분위기였다.
그리고 지난 20일 국민대 연구윤리위원회는 “상당부분 표절됐다”는 결과를 발표하며 상황이 달려졌다. 결국 문 당선자는 논문 표절의 책임을 지고 새누리당을 탈당했다.
문 당선자는 보도자료를 통해 “물의를 일으켜 국민들께 죄송하다. 모든 것은 제 책임”이라고 밝혔다. 문 당선자는 “저로 인해 국민들께서 정치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거나 새누리당의 쇄신과 정권재창출에 부담이 돼서는 안된다”며 “논문 표절 의혹이 있는 것도, 탈당 번복으로 인해 국민들을 혼란하게 한 것도 저의 잘못”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정치로서 감동을 주고 체육계의 발전과 변화하는 정치의 모습을 국민과 함께 만들어가고 싶다는 바람으로 정치에 입문했다”며 “그렇지만 끝없는 논란으로 국민들께 실망과 혼란을 주고 저를 공천해준 당에 부담이 돼 무한한 책임감을 느낀다. 저의 탈당으로 새누리당이 부담을 털고 민생에 전념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처럼 문 당선자가 탈당하면서, 새누당당 내부에서는 이 문제를 조기에 털고 정권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테권도 간판스타

87년부터 선수 활동을 시작해 96년 첫 국가대표가 된 문 당선자는 구월중학교와 리라공고를 졸업하고 동아대와 용인대 대학원을 나와 99년 6월 캐나다 세계 선수권 헤비급, 2002부산아시안게임 헤비급을 제패하며 태권도 중량급의 확실한 간판스타로 자리잡았다.
특히 2004년 아테네올림픽 태권도 남자 80㎏ 이상급에서 금메달을 딴 문 당선자는 국민들의 가슴에 영원히 기억되는 스타가 됐다.
그러나 문 당선자는 아테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거머쥐기 전까지 그동안 ‘비운의 태권스타’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녔다.
아테네올림픽 마지막날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통쾌한 KO승으로 한국에 금메달을 안겨주며 지긋지긋한 꼬리표를 떼어내게 된 것이다.
또 지난 2000년 시드니올림픽 때는 아픔도 있었다. 올림픽선발전에서 2위를 한 문대성은 태권황제 김제경(미국 거주)이 태극마크를 반납한 뒤 종주국 최중량급 대표로 시드니행을 이루는 듯 했다.
그 전해에 세계선수권을 제패했기에 문대성의 올림픽 금메달은 확실해 보였다. 그러나 협회는 문대성과 선발전 3위 김경훈을 재대결시켰고 준비가 덜 돼있던 문대성은 김경훈에 티켓을 내주고 4년을 홀로 울다가 2002부산아시안게임에서 화려 하게 재기했다.
그는 올림픽의 한을 풀기 위해 4월 파리에서 열린 올림픽 세계 예선전에서는 손 목뼈가 2개나 부러진 채로 부상을 참고 출전을 강행했을 만큼 의지력이 남달랐다.
왼발을 잘 쓰며 뒤차기가 주특기인 문대성은 약점인 오른발 받아차기를 집중 연마해 공수에서 빈틈없는 태권 황제의 위용을 굳혔다. 체력 단련을 위해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한 문대성은 불고기를 좋아하고 취미는 독서, 좌우명은 정직과 최선이다.

박근혜 “걸림돌 그냥 못넘어가”

한편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박근혜)는 지난 19일 탈당 거부 사태로 논란을 빚은 문대성 당선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중앙당 윤리위원회를 오는 23일 개최하기로 했지만, 문 당선자의 탈당으로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당 내부에서는 문 당선자의 국회의원직 사퇴 권고 등 강력한 제재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기류가 팽배해 결과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와 관련,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19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우리가, 또 우리당이 민생과 관련 없는 일로 갈등이나 분열을 하거나, 또다시 과거를 망각하고 정쟁을 하거나 하면 정권 재창출로 가기 전에 국민들이 우리를 심판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선에서 ‘독’될라

박 위원장은 “만약에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데 걸림돌이 되거나 안 지키는 사람이 있다면 결코 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의 이 같은 언급은 새누리당의 도덕성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는 문 당선자에 대한 강력한 당 차원의 조치는 물론 총선 승리 이후 느슨해진 당의 기강을 바로잡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이상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문 당선자는 당에 탈당의사를 전해 왔고 당은 그렇게 될 것으로 알았는데 최종적으로 탈당하지 않겠다고 해 큰 혼선을 빚었다”며 “문 당선자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팔지 말고 스스로 책임있는 행동을 하기 바란다”고 자진탈당을 촉구했다.
새누리당은 총선 승리로 자칫 당이 오만해졌다는 여론이 형성될 경우, 그렇지 않아도 쉽지 않은 대선 판세에 치명적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와 위기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행종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