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공동화 및 도시고령화 문제해결 효과

농촌진흥청은 고령사회로 진입한 농촌사회의 활성화를 위해 올해에 44억원을 들여 추진할 100개 농촌건강장수마을을 선정했다. 100개 장수마을에는 9900여 가구에서 2만4000여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과 55~64세의 예비노인 등 7300여명이 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각 지역의 여건이 다른 만큼 마을에서 가진 자원을 활용하도록 하고 장수의 요건인 일거리 발굴과 소득활동을 구상하여 주민들의 자율적 참여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주요 일거리로는 짚풀·한지 등 전통공예품을 제작하거나, 감자·고구마·버섯 등의 농작물 재배, 친환경농법 실현, 패스트푸드에 대응한 슬로우 푸드로 전통 장·전통 술 제조 등 전통식품 가공과 매실나무·밤나무 등의 유실수 심기 등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장수에 필수적인 전통 먹을거리 중심의 1년짜리 장수식단, 하루 일과와 1주일 활동 계획은 물론 사계절 활동계획에 따른 규칙적인 생활 등도 이 프로그램에 포함될 예정이다. 텃밭 가꾸기, 공동소득활동, 미니골프, 게이트볼 등 운동시설확보, 이동 의료시설 순회 진료, 춤·노래·서예 등 다양한 취미활동, 웰빙 전통음식 만들기, 신앙 활동, 자원봉사 등에 초점을 맞추어 추진된다. 또한 농촌진흥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하여 사업의 단계에 맞는 핵심 내용을 지원하고 있는데 정책형성단계라 할 수 있는 홍보, 국민여론수렴을 마쳤다. 일거리, 건강, 사회활동, 환경 등 각 프로그램 분야별로 민간·학계로 구성된 13명의 전문가 협의회를 운영하여 컨설팅 등 자문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였으며,4월 15일에는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마을지도자와 사업담당자 등 230명을 모아 노년기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삶의 질 향상(서울대 한경혜 교수), 주민의 자발적 참여 방안(협성대 고순철 교수), 마을의 사업추진계획 발표 등 교육을 준비하고 있다. 마을 기초조사 연구를 시작으로 각 영역별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건강장수마을 육성 전략 심포지엄 개최(6월), 사업담당자 워크숍(8월), 마을 순회평가(10월), 사업 결과 평가와 사업지역 주민의 생활만족도 측정(12월) 등 순차적 지원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의 7%를 넘어서는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진입했으며, 2004년의 농촌 고령화율은 15.6%, 농가는 29.4%로서 마을단위로 갈수록 고령화가 가속화돼 2018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Aged Society)가 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신영숙 농촌생활자원과장은 “전국 방방곳곳에 농촌건강장수마을이 조성되면 농촌 공동화와 도시 고령화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고 피폐해지는 농촌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