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와 대마도도 우리땅’ 역사적 근거 있어...

일본 시마네현 ‘독도(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에 대해 한·일간의 신경전이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치닫고 있는 가운데 김원웅 의원은 “대마도를 국제적인 영토분쟁지역화하는 정책을 펴야한다”며 대마도 영유권 맞불론을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대마도도 조선의 땅임을 보여주는 중국의 고지도가 공개됨에 따라 정치권과 학계 등을 중심으로 ‘독도와 대마도도 우리 땅’이라는 주장과 함께 ‘맞불’을 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 의원 ‘대마도 영유권 역사적 근거가 훨씬 더 명료’ '대마도 맞불론'은 독도문제가 터지면서 네티즌들은 이미 일찍부터 이같은 주장을 꾸준히 해왔다. 이같은 네티즌들의 '대마도 영유권' 주장이 정치권에서도 화두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국회 '올바른 역사연구를 위한 의원모임' 소속 열린우리당 김원웅 의원은 독도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하면서 TV,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김원웅 의원은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에 맞서 우리도 마찬가지로 대마도를 국제적인 영토분쟁지역화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일본이 독도를 자기 땅으로 주장하고 있지만 그보다 우리나라가 대마도를 우리땅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역사적 근거가 훨씬 더 명료하다"며 "세종원년인 1419년 대마도를 정벌해 경상도에 편입시키고 500년 동안 경제적 지원을 했다"고 근거를 댔다. 또 "대마도에서는 우리말과 똑같은 단어가 300여개 정도나 있다"며 "일본 메이지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조선의 영향력이 미치는 조선 땅이라는 것이 학계에서 수용되는 일반이론"이었다고 설명하며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 이승만 대통령도 대마도를 우리 땅으로 주장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가 좀더 강경하고 원칙적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며 "국회 차원에서 '한일 우정의 해' 행사를 일체 거부하거나 한일연맹 자체 내에서 일본의 유엔안보리 상임이사 진출에 대한 우리 정부의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것을 공론화해야 한다"고 주장을 펼쳤다. 김 의원은 이어 "대마도 민속자료실에는 조선조 때 대마도주(島主)를 정3품으로 임명한 서류가 소중한 유물로 보관돼 있는 등 우리 땅이었음을 입증하는 자료가 있는 만큼 대마도를 영토분쟁 지역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학계, 대마도 영유권 근거 고지도 공개 김 의원의 주장과 함께 학계에서도 정치권의 ‘대마도 영유권’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부산외국어대 김문길 교수는 독도 뿐 아니라 대마도까지 조선의 땅임을 보여주는 고지도를 공개했다. 이 고지도에는 1488년 당시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이 황제(영종)의 명을 받아 조선땅을 둘러본 뒤 작성한 견문록인 '조선부(朝鮮賦)'의 '조선팔도총도(朝鮮八道總圖)'에는 울릉도와 독도 뿐 아니라 대마도까지 조선의 영토로 자세히 표기돼 있는 것이다. 전북대 사학과 하우봉 교수도 "조선왕조실록에는 '대마도는 경상도 계림에 속하나 …중략… 본국에서 쫓겨난 왜인들이 몰려와 그들의 소굴이 되었다'고 나와 있다"며 "이외에도 대마도가 한국땅임을 뒷받침할 자료는 충분해 일본보다 훨씬 논리적으로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조선왕조실록' 세종 26년(1444) 조에는 '대마도는 본래 조선의 목마지(牧馬地.말 기르는 땅)'라고 일본인이 직접 말한 대목이 있다. 심지어 임진왜란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 침략에 앞서 만든 '팔도전도'에도 지도 역시 독도와 대마도를 조선 땅으로 밝히고 '공격 대상'이라고 적고 있다.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계열 출판사가 1999년 발행한 '최신 조선지도'라는 책에도 울릉도.독도뿐 아니라 대마도까지 조선의 영토로 표기한 고지도가 실려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도책은 '여러가지 옛지도'라는 제목으로 대마도를 조선땅으로 표시한 조선시대 지리서인 '팔도지도'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팔도총도를 수록했다. 최장근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책임연구원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근거는 고작 시마네현 어부들이 (독도) 근처에서 어업을 했다는 등 빈약하기 짝이 없다”면서 우리가 ‘대마도의 날’을 지정, 기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이승만 대통령은 과거 역사적 근거로 1948년 8월18일 '대마도 반환요구'를 전격 발표, 이후 9월9일에도 또다시 반환성명을 발표했지만, 1948년에는 입법의원들이 대마도를 조선영토로 복귀할 것을 대일강화조약에 넣자는 결의안을 추진했지만 실현되지는 못했다. 해방이후 한일관계를 관리해온 미국은 동북아에서 미국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이 필요했고, 때문에 미국은 일본의 거센 반발을 수용해 한국의 요구를 저지해 대마도 반환 요구는 힘을 잃게 되어 버렸다. 경상도, “대마도의 날 제정해야...” 한편, 독도가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소속이고 역사적으로 대마도가 '경상도'땅에 속한 탓에 '경상북도 공무원'들의 거센 항일 시위를 벌이며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상북도 공무원 300여명은 "시마네현 의회의 독도의 날 제정을 철회할 것과 세마네현은 영토침탈 야욕을 위한 군국주의적 망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하며 삭발시위까지 가졌다. 또 울산시의회는 17일 제78회 임시회 본회의를 열고 대마도의 반환을 요구하는 ‘일본 독도 영유권 야욕 규탄 결의안’까지 채택했다. 시의회는 결의안에서 “대마도는 역사적으로 근거가 명확한 대한민국 영토로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한 대마도의 반환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시의회는 또 “일본이 침략주의적 야욕과 근성을 드러내며 범정부 차원의 독도 도발을 자행하고 있는 만큼 한국 정부는 침탈 행위에 대한 구체적이고 강경한 대책을 세우라”고 촉구했다. 전국공무원노조 부산시지부도 부산시청에서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고 “부산시의회는 ‘대마도의 날’조례를 제정하고 부산시는 시모노세키와의 자매결연을 철회, 관계를 단절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네티즌들도 이참에 대마도를 되찾자는 주장도 적지 않았다 네이버의 엔조이재팬 토론방에는 대마도와 관련한 게시물만 300개에 육박했다. 대마도가 우리땅이라는 논거를 제시하거나, 일본이 독도를 가지겠다면 우리는 대마도를 가지겠다는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다. 다음의 '이명화'라는 네티즌은 "대마도지사를 네티즌여러분들과 함께 뽑구 싶습니다"는 댓글을 올리기도 했다. 'HAPPY'라는 네티즌은 "대마도의 날을 만들고 국경일로 정하자"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네티즌들의 분노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으로 확산되는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각종 시민단체들이 앞장서 불매운동을 전개하는 것과 발맞추어, 온라인상에서도 미니홈피와 블러그를 중심으로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