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국민들과 소통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인도 이런 부분을 인정하고 지난 촛불 시위때는 청와대 뒷산에 올라가 고민했던 일화를 털어놓으며 “저 자신을 자책했다. 수없이 저 자신을 돌이켜보았다. 사과를 드린다. 뼈저린 반성을 하고 있다”고 했다.

당시 MB는 “어떤 정책도 민심과 함께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절실히 느꼈다. 대선 공약이었던 대운하사업도 국민이 반대한다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동안의 실정(失政)에 대한 고백을 토대로 민심 수습을 기대하는 모습이어서 많은 국민들이 기대를 했고 화합하는 대한민국을 기대했다.

그러나 결과는 신통치 않다.
최근에 나오는 여론조사를 보면 절반 이상의 국민들이 “MB는 국민 눈높이에 맞춘 소통의 능력과 기술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다.

이에대해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는 “국민들이 보기에 MB에게 가장 부족한 것은 소통과 진정성의 결여다. 최고지도자의 말과 행동이 국민 신뢰를 받지 못하면 모든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진다”고 말했다.

최교수는 또한 “지난 해 촛불시위에서 대통령은 사과를 하고도 부적절한 내용과 어휘로 사태를 더 악화시켰고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나 대운하 문제 등을 둘러싸고 여러차례 말을 바꾼 탓에 국민들은 진정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희대 윤성이 교수 역시 “ MB는 사이버 공간의 갈등을 해결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윤교수는 “시민사회와 정치사회간 소통의 네트워크 공유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구현할 온라인 공론장 운영 ,네티즌들의 욕구를 수용할 온라인 참여제의 일상화 등”을 꼽았다.

상황이 이러한데 미국을 방문중인 MB는 조지워싱턴 대학에서 공공서비스 분야 명예박사학위를 수여받은 뒤 가진 강연에서 “새로운 기술과 문명이 등장하면서 우리가 서로 소통하고 대화하는 방식들도 획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타임지는 트위터에 대한 커버스토리를 통해 이것이 우리의 삶을 얼마나 바꿔주고 있는지 다루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MB는 “전 개인적으로 아직 가입하지는 않았지만 (트위터) 가입을 생각해 보려고 한다. 하지만 대통령에게 하고 싶은 말을 140자 이내로 하라는 것은 너무 어려운 것 같아서 200자까지 늘리려고 한다”고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트위터는 한 번에 140자 이내의 짧은 글만 올릴 수 있고 올린 글을 등록 수신자들이 웹과 휴대전화로 곧바로 받아볼 수 있는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다.

사용자들이 장소에 관계없이 불과 수십 초 안에 빠르게 글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한번 생각해보라.

과연 대한민국에 트위터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또한 그것이 우리나라에 실용화 되려면 또 얼마나 걸릴지 의문이다. 그것보다 거의 폐쇄상태에 있는 청와대 홈페이지나 다시 살려 국민들과 소통을 하는 것이 훨씬 좋을 듯 싶다.

많은 국민들은 듣도보다 못한 트위터보다는 청와대 홈페이지가 더 쉽게 다가오는다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