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29월 재보선선거가 임박하자 다시 한번 지역감정이 고개를 들고 있다.
대선주자 출신의 거물급 정치인인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이 예상대로 자신의 텃밭인 전주 덕진에 출사표를 던졌다. 물론 민주당 지도부의 공천심의를 거쳐야 하지만 별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송영길 최고위원은 “정 전 장관이 전주 덕진에 출마하면 ‘제2의 이인제’가 될 것”이라고 비아냥거렸다. 민주당 역대 최고 대변인이자 정 전 장관의 측근으로 꼽히는 최재성 의원 역시 “대선후보를 한 만큼 나처럼 지역구를 챙기는 사람과는 달라야 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동영 후보가 대선경쟁에서 실패하고 자신의 고향을 등지고 서울 동작을에서 국회의원으로 나와 정몽준 의원과 한판 승부를 벌였을 때 많은 사람들은 “역시 큰 인물”이라고 칭찬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어떠한 이야기를 해도 ‘지역감정’이라는 네 글자가 떠오르는 것은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혹자는 “세상에 지역감정이 없는 나라가 어디에 있느냐”며 “대한민국도 그중에 일부분이 니 너무 지역감정, 지역감정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그야 그렇다. 중국, 미국, 일본 등에서도 지역감정 혹은 지역색은 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역감정의 형태나 강도가 우리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들은 자기지역을 사랑하고 출신지에 대한 약간의 프라이드를 가지고 있는 것이지 대한민국처럼 ‘너는 죽고 나만 살겠다’는 식의 경쟁은 하지 않는다.

또한 “이번에는 호남에서 대통령이 됐으니 다음에는 영남에서 나와야 한다” “출신지역을 안배해서 입각 시켰다”라는 이야기는 이들의 나라에서는 들을 수 없다.

대한민국에도 1950년대까지는 영호남 지역감정이 없었다.

이후 경제개발 과정에서 개발이익을 영남과 서울에 편중시켰고 호남은 소외됐다. 더 나아가 지역간 차별이 계층차별로까지 이어졌다. 이런 다양한 문제들이 결국 5·18 민주화운동으로 폭발했다. 전남 시민들이 전 국민이 저항해야 할 군부정권에 대해 홀로 대항하다 진압된 사건인데도 전두환 군부정권은 지역감정의 문제로 전환시킴으로써 지역감정문제를 악화시켰다.

87년 이후에는 호남의 저항적 피해의식이 한 정당과 야구단으로 응집됐고, 특히 그 정당은 지역의식을 철저히 이용했다. 국민적 민주화 욕구가 진정한 국민통합으로 이어질 수도 있었지만, 현실 정치권에서 지역주의를 악용해 권력기반을 닦는 바람에 지역균열이 첨예화됐다.

역사적으로는 영남의 잘못이 크지만, 현 시점에서는 두 당 모두 지역정서를 이용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전북대 강준만 교수의 ‘지역감정 7대 해악’을 다시 한 번 음미 해보았으면 좋겠다.

“지역감정은 첫째로 지역감정은 국민의 저능화를 초래한다. 이성은 마비되고 감성은 추악하고 야비하고 탐욕스러운 쪽으로만 발휘된다. 둘째 지역감정은 사회정의를 쓰레기로 만들어 버린다. 셋째로, 지역감정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연고주의를 확산시키고 강화시킨다. 넷째는 정치를 죽이고 그 당연한 결로 민주주의를 죽인다. 다섯째, 정책적 이슈를 사라지게 만들며 여섯째, 정책의 정략적 왜곡을 밥 먹듯이 저지르게 만든다. 마지막 지역감정은 국가의 균형발전을 저해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