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영남대행 설왕설래

▲ 박근혜 전 대표의 영남대학교 이사진 복귀 여부를 두고 각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자녀인 근령씨와 지만씨가 육영재단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학교법인 영남학원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새 이사회 참여 의사를 묻는 공문을 발송키로 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남학원은 박 전 대통령의 ‘유산’으로 소유권 공방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박정희 유산’을 둘러싼 불길이 번지는 것은 아닌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영남학원 박근혜에 새 이사회 참여 의사 묻는 공문 발송
“재단정상화 협력하겠다” ‘박정희 유산’ 접수 카운트다운

‘박정희 유산’인 육영재단을 두고 근령씨와 지만씨의 분쟁이 폭력사태까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영남재단의 분위기가 심상찮다.
영남학원 정상화추진위원회는 지난해 11월27일 “영남대 교수와 직원, 동창회 등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어 구 재단이 새로운 재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결정했다”는 기자회견을 연데 이어 지난달 박근혜 전 대표에게 보낸 공문을 통해 사실상 재단참여 의사를 물었다.
박 전 대표는 영남학원과의 ‘개인적으로 특별한 관계’를 강조하며 재단정상화에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영남학원 법인이사회는 오는 20일까지 박 전 대표에게 영남대 경영 참여에 대한 공식입장을 요청키로 했다.
박 전 대표의 영남학원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일각에서는 그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산을 접수하기 위해 나선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일고 있다.

박근혜 ‘유산’ 접수 나서나

학교법인 영남학원은 현재 산하기관으로 영남대학교, 영남이공대학, 영남대학교의료원(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남대학교병원, 영천병원)을 두고 있다.
영남대학교는 1968년 초대 총장으로 신기석 박사가 취임하며 개교했다. 민족사학이던 청구대학과 대구대학을 통합, 개명한 것이다. 청구대학과 대구대학은 각각의 이유로 정권에 헌납됐고 국가에 귀속됐었어야 할 재산은 통합 후 이름이 바뀌어 ‘사학재단’이 됐다.
영남학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개인재산과도 같다. 영남학원 정관에 ‘박정희 교주(校主)’라고 밝혀 소유권을 박 전 대통령에게 두고 있다. 사학재단이 된 후 영남학원은 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이 맡았었으며 1980년 신군부가 들어선 후 박 전 대표에게로 넘어 갔다.
박 전 대표는 1980년 3월 재단이사에 취임했으며 취임 한달 만에 이사장으로 자리를 옮겨 같은 해 11월까지 이사장으로 재임했다. 또한 1981년부터 7년여 동안 재단이사로 일했다. 1983년에는 근령씨가 이사 자리에 앉기도 하는 ‘박정희 일가’의 재산임을 공공연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부정입학과 복지기금 전용 의혹, 박 전 대표 측근의 학교 운영 개입비리 의혹이 불거지자 관선이사가 투입되면서 박 전 대표는 진실여부와는 상관없이 영남대 운영에 손을 떼게 됐다.

▲ 영남대학교
▲ 영남대학교 병원
영남학원은 지난 2007년 4월 정부가 영남대 재단을 임시이사 파견 사유소멸 대학으로 판정함에 따라 ‘관선 이후’를 고민해왔다. 그리고 결정된 것이 새 이사회 구성에 구 재단이 참여하는 것이었다.
이는 박 전 대표를 향한 구애이기도 하다. 1988년 당시 이사 7명 가운데 박 전 대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세상을 떠났거나 고령이기 때문이다. 이미 구 재단 이사들 가운데 3명은 정식 재단 참여 거부의사를 전했다.
노석균 영남학원 정상화추진위원장은 “대부분의 압도적인 다수가 옛날 영남대 학원의 재단, 현재 국회의원으로 있는 박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재단으로 다시 복귀하는 게 옳다고 결정 됐다”고 밝혔다.
또한 “학원정상화에 책임질 당사자들에게 수렴된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해 박 전 대표에게 학원정상화 발안에 대한 협의가 있었음을 암시했다.

‘복선’ 깔린 재산 분쟁

영남학원과 박 전 대표측은 ‘재단 정상화’를 위한 것이라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하고 있지만 박 전 대표의 영남대 복귀가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권교체 후 박 전 대표의 ‘복귀’를 기대하는 이들도 있지만 학원 비리로 물러나 이가 다시 학교를 운영한다는 것은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20년 동안의 관선체제를 풀고 ‘박정희 유산’으로 돌아온 영남학원가 품고 있는 재산 분쟁의 씨앗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근령씨는 2002년 영남학원 이사장 앞으로 보낸 공문에서 100억원 기부와 1000억원 모금 출연을 약속하면서 재단이사의 재선임을 요구, 재단운영권을 넘겨달라는 의중을 드러낸 바 있다.
264만㎡(80만 평)에 이르는 전국 초대의 교지를 가지고 있는 영남대와 영남대학교병원 등을 소유하고 있는 영남학원의 가치는 돈으로 환산할 수조차 없기 때문이다.
근령씨는 2006년 말 영남학원 임시이사 직무행정정지 가처분신청을 내고 이듬해 서울행정법원에 영남학원 임시이사 선임취소 소송을 내면서 재단의 소유권을 가지려했다. 당시 서울행정법원은 근령씨가 관선이사 직전의 임원이 아니었다는 이유를 들어 “원고에게는 소송을 제기할 법률상 이해관계가 없다”며 각하 판결을 내렸다.
일각에서는 육영재단에 대해서도 남매간 혈전을 벌이고 있는 근령씨가 영남학원에 대한 영향력을 쉽사리 포기할리 없다는 이유를 들어 박 전 대표의 영남대행을 우려섞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