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공직자 재산 ‘뜯어보니’

▲ ‘강부자 정권’청와대와 행정부의 고위공직자 재산이 평균 수십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일각에서는 MB정부는 역시 ‘강부자 정권’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청와대는 “재산이 많다는 것이 공격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며 논란을 피해가고 있다.
청와대와 행정부의 고위 공직자 103명의 재산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하지만 장·차관, 청와대 수석 등 1급 이상 고위공직자들의 1인당 재산 평균액이 22억8000여 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되면서 이명박 정부는 역시 ‘강부자(서울 강남 부동산 부자)’ 정권이란 비난을 피해 가진 못한 모양새다. 이명박 대통령은 103명의 재산등록 대상 고위공직자 가운데 가장 많은 354억7000여 만원을 신고했다.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의 재산 평균액도 31억38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 공직자 상당수가 강남 지역(강남·서초·송파구)에 한 건 이상의 부동산을 갖고 있었고, 장관급 이상으로 올라 갈수록 그 비율은 더 높았다. 이들은 아파트 분양권은 물론 상가 건물, 오피스텔 등에 집중 투자하면서 재산을 불린 것으로 드러났다.

고위공직자 재산 평균 22억8000만원 ‘참여정부’ 시절보다 높아
이명박 대통령 재산 354억7000만원, 장·차관급 평균 약 35억원
강남지역 상당수 부동산 보유, 귀금속·미술품 이색재산 눈길
26명, 직계 존·비속 “독립생계유지 위해” 재산공개 거부

이명박 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은 참여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 보다 많은 평균 22억 8000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무위원 16명 중 14명이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재력가들이었다.

지난달 24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이명박 정부 고위 공직자 103명의 평균 재산은 22억8296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이 대통령(354억7000만원)을 제외한 102명의 평균은 19억5792만3000원이다. 이는 본인과 배우자의 재산을 기준으로 한 평균치다. 따라서 직계 존비속의 재산까지 합하면 20억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명박 정부 재산 ‘참여정부 2배’

반면 참여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은 이보다 약 8억원이나 적었다. 지난 3월28일 공개된 참여정부 중앙부처ㆍ지방자치단체 고위 공직자 1739명의 평균 재산(2007년 말 기준)은 약 11억8000만원이었다. 그나마 2006년 말에 비해 평균 14.2% 증가한 수치였다. 이명박 정부가 참여정부에 비해 2배 정도 재산이 많은 부자인 셈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중 최고액인 354억740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부의 고위공직자를 통틀어도 1위를 차지했다. 서울 강남과 서초구에 있는 집과 빌딩, 부인 김윤옥 여사 명의의 토지 등으로 381억8000만원선을 신고했으나 빚도 66억원 지고 있다고 밝혀 전체 재산은 354억7000만원 규모다.

서울 서초동에 건물 2채, 양재동에 건물 1채가 있고 논현동에는 단독주택과 부인 김윤옥 여사 명의의 대지가 있다. 서초동 건물은 각각 142억77275만원과 101억9794만원이고 양재동 건물은 85억7540만원이다.

서울시장 취임 이전에 살았던 논현동 주택은 31억1000만원인데 현재 이곳에는 둘째 딸 부부가 거주하고 있다. 김 여사 소유인 논현동 대지는 12억9002만원이었으며 대선기간 전세로 거주했던 가회동 주택과 대선 캠프였던 견지동 안국포럼 사무실의 전세가는 각각 7억원과 4000만원이다.

예금으로는 이 대통령이 우리은행 1억1067만원 등 1억1705만원, 김 여사가 대한생명보험 5107만원 등 6071만원을 각각 소유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외에도 LKe뱅크 출자지분 30억원을 갖고 있다. 이 지분은 전체지분의 48%로 이 대통령은 LKe의 연간매출액을 0원으로 신고했다. 이 대통령의 후보시절 싱크탱크였던 국제전략연구소(GSI)에는 6억원을 출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재산 140억대를 신고한 유인촌 장관은 강남구 압구정동에 본인 명의의 15억9000만원짜리 아파트 한 채, 강남구 청담동에 39억원 나가는 ‘유시어터’ 건물을 소유하고 있었다.

경기 용인시에는 연립주택, 서울 종로구에 아파트 등 총 건물만 4건에 60억5000만원, 강남구 청담동과 제주 제주시, 경기 여주군에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토지 6건 12억7000여 만원을 보유해 부동산 재산만 73억3000여 만원에 달했다. 그가 보유한 전체 부동산(73억원) 대부분이 강남에 있는 셈이다.

수석비서관 ‘강부자’보다 한 수 위?

한승수 총리 역시 서초구 반포동에 시세가 10억원 하는 연립주택을 갖고 있었으며 강원 춘천시에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4억8000여 만원 상당의 논밭과 임야, 춘천시에 1억6000만원짜리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었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강남구 대치동에 21억원짜리 아파트를 한 채 보유를 신고했으며, 이영희 노동부 장관은 본인 명의의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14억9000여 만원) 이외에 배우자와 딸 명의로 서초동에 2채, 역삼동에 한 채를 보유하는 등 부동산으로만 25억8000여 만원을 갖고 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서초구에 아파트 3채를 비롯해 마포구 도화동에 아파트 한 채 등아파트 4채로 부동산으로만 21억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송파구 신천동에 9억9000만원 상당의 아파트 등 본인과 부인 명의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4건 25억8000여 만원을 신고했다.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은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근린생활시설(16억7000만원), 관악구에 단독주택(3억2000만원)을 갖고 있었으며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강남구 개포동에 9억8000여 만원짜리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다.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송파구 문정동에 5억5000만원 상당의 아파트를, 김경한 법무부 장관은 서초구 서초동에 13억6000만원 나가는 오피스텔 분양권과 서울 양천구 목동에 10억원짜리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 역시 본인 명의로 양천구 목동에 6억4000만원 상당의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

물론 강부자만 있는 건 아니다. 이명박 정부 고위 공직자 103명 중 가장 ‘가난한’ 공직자로 기록된 최성룡 소방방재청장은 4558만3000원을 신고했다.

그는 집 한 채 없이 살고 있다. 현재 광주 북구 문흥동과 전남 목포시 연산동에 전세 낸 아파트 두 곳이 있다. 목포 아파트는 대불대 교수로 재직 당시 출퇴근용으로 임차한 것이고 광주 아파트는 출가한 큰아들이 살고 있다.

지난해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최 청장을 두고 “만학에 열중하다보니 평소 재테크에 관심을 두지 않아 벌어놓은 재산이 없다”고 소방방재청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이명박 정부의 초대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8명 모두가 서울 강남 등에 부동산을 소유하는 등 이른바 ‘강부자 내각’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국무위원들 재산보다 더 많은 재산 평균액 35억여 원의 재력가들로 나타났다. 10억원대 이상의 자산가였다.

그들 대부분은 서울 강남 등 집값 급등 지역인 ‘버블 세븐’(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평촌·용인) 지역에 집을 1채 이상 갖고 있다고 신고했다. 재산 상위 1,2위는 자산가 집안 출신으로 ‘상속형’ 부자로 드러났다.

곽승준 국정기획 수석 110억원, 김병국 외교안보 수석 82억원, 이종찬 민정 수석 34억원 순으로 류우익 대통령실장을 포함한 대통령수석비서관 등 10명(장차관급)의 평균 재산은 35억5652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토지 보유 평균액은 5억1900여 만원, 아파트 등 건물 보유 평균액은 20억8200여 만원, 예금은 8억7900여 만원에 달했다. 2003년 공개된 노무현 정부 청와대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은 13억5632만원이었다.

독특한 재산 상당 보유

▲ “재테크 보이네”고위공직자들의 재산에 부동산과 예금 등 일반적인 재산 외에도 그림과 귀금속, 호텔 휘트니스클럽 회원권, 골프장 회원권 등이 포함, 부자들의 재테크 방식으로 시선을 모았다.
재산 1위를 차지한 곽승준 수석의 재산 대부분은 전 고려산업개발 회장인 곽삼영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주식과 회화 작품도 많이 보유해 눈길을 끌었다. 김병국 수석은 6억9000만원 상당의 비상장 주식과 2500만원 상당의 유화를 소유했다. 김중수 수석도 배우자 명의 5000만원 상당의 풍경화를 소유하고 있다.

청와대 수석 비서관들의 재산이 발표되자 이 대통령은 “청와대가 부자들만 모인 곳이라는 인상만 줬다”면서 청와대 직원들의 정신자세와 마음가짐, 일하는 자세 등을 강하게 질타했다. 이어 “청와대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가다듬어야 한다”며 “헌신과 봉사, 희생의 각오를 가지고 일해야만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달 24일 공개한 이명박 정부의 고위공직자 재산 내역 가운데는 부동산과 예금 등 일반적인 재산 외에도 그림과 귀금속, 호텔 휘트니스클럽 회원권 등을 보유하고 있었다.

김중수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은 김용진의 동양화 ‘단풍’과 국내 대표적 사실주의 서양화가 였던 도상봉(1902~1977)의 풍경화를 소장하고 있었는데 이들 두 작품은 1960년대 작품으로 각각 5000만원과 500만원으로 평가 받았다.

이명박 대통령은 부인 김윤옥 여사 명의로 이상범(1897~1972)의 동양화 ‘설경’과 김창렬의 ‘물방울’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시가로 2200만원이었다. 김하중 통일부 장관은 중국 화가의 그림 2점을 소유하고 있었다. 김성환 주오스트리아 대사도 허건의 동양화를 한 점 신고했다. 김병국 외교안보수석비서관도 사석원의 유화 한 점을 2500만원으로 신고했다.

귀금속 보유액으로는 이상희 국방부 장관이 수위에 올랐다. 이 장관은 배우자 명의로 무게 713g의 24k 금덩이(2170만원)와 1캐럿 다이아몬드 반지(200만원)를 신고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부인 김윤옥 여사 명의로 1.07캐럿 다이아몬드(500만원)를 갖고 있었으며 김병국 외교안보수석비서관도 배우자 명의로 1.8캐럿 다이아몬드 반지(800만원)와 1.2캐럿 목걸이(750만원)를 신고했다. 김하중 통일부 장관,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김중수 경제수석비서관도 배우자 명의의 다이아몬드 반지를 갖고 있었다.

호텔 휘트니스클럽 회원권도 인기가 높았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골프장 회원권 3개, 콘도 회원권 1개를, 이상희 국방부 장관은 캐피탈호텔,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은 메리어트호텔 휘트니스클럽 회원권을 각각 갖고 있었다.

한승수 장관이 소유한 인터컨티넨탈호텔 휘트니스클럽 회원권은 4800만원으로 가장 가격이 높았다. 김경한 법무부 장관은 남부·강촌·한성·엘리시안 컨트리클럽에 골프장 회원권 4개와 콘도 회원권 2개, 헬스클럽 회원권 2개를 갖고 있어 회원권 재산만 8억2000여 만원에 달했다.

곽승준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은 골프장 회원권 2개, 콘도 회원권 1개, 헬스 회원권 2개를 갖고 있어 총 5억1천여 만원의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헬스회원권을 보유하고 있는 공직자도 있었다. 곽승준 수석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총 5개의 골프 및 헬스회원권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김중수 수석은 본인과 장녀 명의로 각각 1200만원, 500만원 상당의 헬스회원권을 보유하고 있다.

본인 ‘국산車’ 가족은 ‘외제車’

외제차도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고위공직자 103명과 그 가족이 보유한 자동차 139대 가운데 외제 자동차는 12대(8.6%)로 집계됐다. 특히 자신은 국산차를 타면서 배우자나 자식들이 외제차를 보유한 경우가 많았다.

국민권익위원회 김필규 부위원장은 배기량 2000cc급 스포티지를 타지만 배우자 명의로 2005년식 BMW 645 모델을,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그랜저를 타지만 차남은 2006년식 푸조를 가지고 있다고 신고했다.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은 도요타 시에나,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혼다 어코드, 김회선 국가정보원 제2차장은 렉서스 GS300을 갖고 있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도요타 마크Ⅱ,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차남 명의로 푸조 407를 신고했다.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배우자 명의로 볼보를,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차남 명의로 아우디를 보유하고 있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본인과 가족이 보유한 자동차가 없다고 신고했다.

한편 공개대상자 103명 가운데 26명(25.2%)이 직계 존·비속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았다. 독립생계유지와 타인부양이 그 이유였다.

대통령실의 곽승준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은 “독립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부모의 재산 공개를 거부했다. 김중수 경제수석도 같은 이유로 모친의 재산을 밝히지 않았다.

한승수 총리는 장남·손자,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장남·장녀, 김하중 통일부 장관이 장남·차남·장녀의 재산을 각각 공개하지 않았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장녀)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장남·삼남)도 모두 자녀 재산을 밝히지 않았고, 장관급인 김성호 국가정보원장(장남), 전광우 금융위원장(장녀·차녀)도 각각 재산 공개를 거부했다.

국가정보원에선 김 원장을 비롯해 전옥현 1차장과 김회선 2차장이 각각 모친 재산을, 한기범 3차장은 부친 재산을 밝히지 않는 등 간부 4명 전원이 공개하지 않았다.

또 차관급인 김필규 국민권익위 부위원장, 정옥자 국사편찬위원장, 박기준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장, 김종천 국방부 차관, 이봉화 보건복지가족부 차관, 김태석 여성부 기획조정실장, 이건무 문화재청장, 최성룡 소방방재청장도 직계 가족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았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은 공무원의 직계존·비속 등이 피부양자가 아니면 공직자윤리위의 허가를 받아 신고사항 고지를 거부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