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에 울려퍼지는 “암행어사 출두요…”

현대판 암행어사가 떴다. 청와대는 물론 감사원, 정부기관 정보라인들이 풀가동하면서 공기업에 칼날을 드리우고 있다. 재계 일각에선 정부가 감사원을 중심으로 법인카드 조사는 물론 비리 첩보 접수 및 확인, 소명자료 요구 등 활기찬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공기업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창록 산업은행 총재를 필두로 윤용로 기업은행장, 박대동 예금보험공사 사장, 이철위 자산관리공사 사장 등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박병원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박해춘 우리은행장, 정경득 경남은행장, 정태석 광주은행장 등은 사의를 표명했다. 이들은 예보가 대주주인 금융회사 CEO들이다.

▲ 이명박 정부가 금융 공기업기관장을 대폭 물갈이 할 것으로 알려지며 긴장이 심화되고 있다. 이들 기관장은 사의를 표하거나 사표를 제출했지만 그 배경에는 정부기관 소속 정보라인의 발빠른 움직임도 관측된다.
정부 현대판 암행어사 풀가동 공기업 '옴매 기죽어'
정부 대주주 은행장들 줄줄이 사직 후 재신임 대기


현대판 암행어사가 떴다. 청와대는 물론 감사원, 정부기관 정보라인들이 풀가동하면서 공기업에 칼날을 드리우고 있다. 재계 일각에선 정부가 감사원을 중심으로 법인카드 조사는 물론 비리 첩보 접수 및 확인, 소명자료 요구 등 활기찬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공기업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창록 산업은행 총재를 필두로 윤용로 기업은행장, 박대동 예금보험공사 사장, 이철위 자산관리공사 사장 등이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박병원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박해춘 우리은행장, 정경득 경남은행장, 정태석 광주은행장 등은 사의를 표명했다. 이들은 예보가 대주주인 금융회사 CEO들이다.

물갈이는 공기업부터?

공기업의 이 같은 움직임은 공기업 인사들부터 대폭 물갈이를 해야 제대로 일할 수 있다는 청와대의 의지에서 출발하고 있다. 때문인지 정부기관 소속 정보라인들은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며 24시간 첩보에 한창이다. 같은 부서간 경쟁도 심화돼 마치 첩보전쟁을 방불케 할 정도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정보담당자는 “새 정부의 정책에 맞춰 공기업 첩보에 부서원들 대부분이 주력하고 있다”면서 “1주일 동안 집에 한두 번 잠깐 들어가 옷만 갈아입고 나올 정도로 다들 열심이다”고 분위기를 귀띔했다.

▲ 우리은행 사옥.
그는 이어 “아침 보고서를 작성한 후 바로 현장에 투입해 하루 10여 명 이상의 사람들을 만나 정보를 수집한다. 저녁 늦게 술자리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라면서 “동료들에게 뒤지지 않기 위해선 요령을 피울 시간조차 아까울 정도”라고 전했다.

이들의 주요 업무는 나라의 녹을 받고 사는 공직자들의 부정부패 행위를 척결하는 정보수집이다. 비위 공직자에 대한 제보는 물론 국민들의 행정기관에서 겪은 억울한 사연들을 귀담아 듣는 것도 이들의 업무다.
때론 택시를 타고 갈 때 기사나 동승자들이 행정기관에 대해 하는 한 마디, 버스를 타고 갈 때 옆에 앉은 사람들의 한 마디 등에도 귀를 기울일 정도다. 이 같은 얘기가 공직감찰의 단서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때문에 이들에게 필수소지품은 정보수집을 할 수 있는 수첩과 녹음기, 사진기 등이다. 자신의 신분의 노출은 금기사항. 평소 인맥을 동원해 기관장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들을 확인하는 것도 일이다.
정치권 한 인사는 “최근 아는 지인들로부터 간혹 공기업 비리에 대해 정보제공 요청을 받는 횟수가 많아졌다”면서 “새 정부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선 공기업 쇄신이 뿌리를 내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 아니겠냐”고 분석했다.

꼬투리 잡힐라~ 몸조심

기업의 한 고위관계자는 “암행어사들의 활동이 가속화 현상은 쉽게 체감할 정도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전언했다. 그 반증이 바로 공기업 수장들의 사퇴와 사의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재계에 따르면 꼬투리를 잡히지 않기 위해 몸을 사리는 공직자들도 더러 나타나고 있다. 기관장 중에는 임기제인 만큼 물러날 이유가 없다고 버티는 일도 있다. 일부 발 빠른 인사는 권력의 핵심과 연줄을 대가며 구명운동에 나선 경우도 있다.

▲ 기업은행.
정부의 이 같은 공기업 혁신 프로젝트에 대한 반응은 재계와 정치권 일각에선 ‘바람직하다’는 견해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단 ‘바람직하다'는 견해는 공기업 경영진은 임기가 남아 있더라도 일단 사표를 내고 재신임을 받는 절차를 밟는 게 의무란 분석에서 출발하고 있다. 예컨대 이들은 사실상 정무직으로 봐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부작용 우려’를 표명하는 목소리는 참여정부 때 인선된 인사라고 임기와 관계없이 내쫓는 것은 재원을 낭비할 수 있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이유를 꼽고 있다.
실적도 좋고 시장에서 능력있는 경영자로 꼽히고 있다면 굳이 바꿀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기업 고위관계자는 “공기업 혁신이 성공적으로 이뤄져야지만 새로 출범한 MB정부가 힘을 발휘할 수 있다”면서 “이 때문에 정부는 전방위적으로 공기업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 아니겠냐”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신뢰를 쌓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무너지는 것은 한 순간이다. 공기업 혁신 성공의 관건은 이명박 대통령의 의지와 시스템 구축에 달려 있다”면서 “실용의 철학을 원칙으로 삼고 있는 이 대통령이 정말 일 잘하고 좋은 인재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좋은 결실을 맺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