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통한 강요냐? 강구냐?

반미이용 호기심 부추겨 자동차 번호판 개정 기사보도 지난 11.12(금)자 중앙일보의 기사("자동차 번호판 규격 미국차에 맞춰달라"), 11.15(월)자 국민일보의 기사("미, 개정 차 번호판 자국 규격 맞춰달라 요구.... 네티즌 내정간섭 발끈") 및 11.16(화)자 미디어다음의 기사(자동차 번호판 규격 미국에 맞추라고?)중 미국측이 한국의 자동차 번호판을 미국산 자동차 규격에 맞춰달라고 우리정부에 요구하였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며, 미측의 요구사항과 관련한 사실관계는 보도와는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지난 11.10∼11간 개최된 한.미 통상현안 점검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자동차 번호판 개정시 동 규격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차량이 있을 수 있으며, 새로운 번호판 부착을 위해서는 7백만불의 추가비용이 소요된다면서,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상호 협의를 통해 강구하여 나갈 것을 요청하였다. 이처럼 밝힌 외교 통상부는 정부는 자동차 번호판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의견 및 우리 자동차 제작 업계와 수입차 업계 등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종합적으료 수렴하여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당국이 협의를 통해 강구 할 것인지 강요 할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상기 통상현안 점검회의는 한.미 양국이 통상현안의 원만한 해소를 위하여 자국의 관심사항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서, 동 회의에서는 미국의 관심사항 뿐만 아니라 우리의 관심사항도 적극 개진하여 해결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바, 자동차 번호판 문제도 이러한 맥락에서 제기된 사항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외교통상부와 일부 언론의 주장이 상이한 상황에서 독자들의 흥미를 위해서는 독자의 감정을 자극해 관심을 끌만한 문구를 의도적으로 삽입하는 언론의 특성을 충분히 감안해야 한다. 특히, 판매부수와 클릭수에 따라 그 값어치가 결정되는 언론의 특성을 감안, 특히 인터넷 미디어의 기사는 독자들은 더욱 신중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반박과 해명, 해명에 반박, 언론 대 언론, 언론 대 기관, 이익단체 등 요즘의 언론계는 전쟁을 방불케 한다. 이처럼 서로 다른 시각의 차이에 따른 교착점을 찾는 일은 참여정부가 들어 서기전에는 찾아보기 힘든 일이었다. 대화와 토론을 중요시하는 참여정부의 의도가 이제는 서서히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