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반기 순이익을 거뒀다. 지난해 말 내부등급법 승인을 획득해 추가 출자 여력이 생긴 우리금융은 올해 초 완전 민영화에 성공하면서 증권사 등 비은행부문 사업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여기에 손태승 회장이 금융감독원을 상대로 제기한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행정소송 2심에서도 승소하면서 사법리스크가 해소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수백억원대의 횡령 사건이 발생하고 수조원대의 이상 외환송금 의심거래가 적발된 데다, 금감원이 DLF 징계 소송과 관련해 대법원에 상고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우리금융은 올해 2분기에만 순이익 9222억원을 기록하며 상반기 1조761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들였다.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수치다. 특히 비은행부문 수익창출력의 업그레이드로 지주 설립시 10% 수준이었던 비은행부문 수익 비중이 20% 수준까지 상승해 순영업수익 호조를 이끌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11월 내부등급법 최종 승인을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획득했다. 증권사와 보험사가 아직 없어 시장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었던 우리금융은 내부등급법 승인을 통해 마련된 실탄으로 증권사 등의 M&A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또 그해 12월에는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 지분 약 10%에 대한 매각 절차가 완료되며 사실상 완전 민영화에 성공했다.

지난달 22일에는 손 회장이 DLF 손실에 대한 금감원의 중징계에 불복해 제기한 행정소송에서 법원이 1심에 이어 2심도 손 회장의 손을 들어줬다. 이로 인해 우리금융은 사법리스크 해소와 호실적이라는 양 날개를 달았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있다.

금감원은 지난 6월 말까지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횡령사고에 대한 현장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지난달 26일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우리은행 본점 기업개선부 직원 전 모 씨는 2012년부터 8년간 8차례에 걸쳐 모두 697억30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했다.

금감원은 전 씨의 주도면밀한 범죄행위가 주된 원인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사고를 미리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은행의 내부통제 기능이 미흡했다는 점을 꼬집었다. 전 씨가 2011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동일부서에서 장기간 근무했다는 사실과, 2019년 10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무단결근한 사실을 언급하며 관련 대내외문서의 등록‧관리 부실 등 사고예방을 위한 내부통제 절차가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적발된 이상 외환송금 의심거래도 규모가 상당하다. 금융감독원 현장검사 결과 지난 12일까지 우리‧신한은행에서 확인한 이상 외화송금 거래규모(잠정)는 26개사(중복 제외 시 23개사), 총 33억9000만달러(약 4조4273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27일 검사 중간발표 때보다 1개사가 추가됐고 2000만달러(약 261억원)이 증가했다.

금감원은 우리·신한은행 검사를 오는 19일까지 완료할 예정이며 필요하면 검사 기간을 더 연장할 수 있다. 또 이상 외환송금 의심거래가 파악된 여타 은행에 대해서도 추가 검사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금감원이 DLF 징계 소송과 관련해 대법원에 상고하기로 결정하면서 다시 사법리스크가 커지게 됐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금감원이 우리은행 횡령에 대한 관리감독 책임을 묻는 데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기자단 간담회에서 “실효적인 내부통제 기준 미마련을 이유로 CEO 등 책임 있는 사람에 대한 책임 추궁이 전혀 안 된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경우에 따라 책임을 물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누군가에게 책임을 물으면 끝나겠지’라고 생각하기에는 지금은 더 고려해야 할 것들이 있는 것 같다”며 “상식적으로 수긍이 가능한 내용과 범위가 아니라면 금융기관 최고 운영 책임자한테 직접 책임을 묻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대원칙이 있다. CEO에 책임을 묻는 (것에 대해) 충분한 전례가 쌓인 것도 아니고, 모든 사안마다 책임을 묻기에는 어렵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민영화 원년을 맞은 우리금융의 위기관리 시스템이 다시금 가동돼야 할 시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